출처
붙여넣은 텍스트
소스 가이드
Great. I will prepare a 12-page graduate-level lecture summary in English based on the report from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Development of Angkor" held on 15 November 2023 at UNESCO Paris. The summary will include the conference background and objectives, ke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policy recommendations, case studies, challenges, and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role and outcomes of ODA-supported initiatives in the Angkor region.
I'll begin the research and compile the material for your lecture summary. I’ll let you know as soon as it's ready.
# Angkor: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Safeguarding and Development of Angkor (Lecture Summary)
## Conference Background and Objectives
Angkor Archaeological Park in Cambodia is one of Southeast Asia’s most important heritage sites, spanning over 400 km² and containing the remains of Khmer Empire capitals from the 9th–15th centuries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Angkor%20is%20one%20of%20the,Angkor%29%20was)). Recognizing its global significance and perilous state in the early 1990s – threatened by looting, conflict, and deterioration – UNESCO inscribed Angkor as a World Heritage Site in 1992, simultaneously placing it on the List of World Heritage in Danger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Stretching%20over%20some%20400%20km2%2C,Angkor%29%20was%20established)). To mobilize international support for its rescue, the **first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 was convened in Tokyo in October 1993 at the initiative of Cambodia’s late King Norodom Sihanouk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dating%20from%20the%209th%20to,Angkor%29%20was%20established)). That 1993 Tokyo conference established the Inter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for the Safeguarding and Development of Angkor (ICC-Angkor), a multilateral mechanism co-chaired by France and Japan to coordinate all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efforts at Angkor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Danger%2C%20in%20order%20to%20address,Angkor%29%20was%20established)). Ever since, the ICC-Angkor has met semi-annually, bringing together Cambodian authorities (notably the APSARA National Authority, which manages Angkor) and dozens of international partners to discuss projects, share expertise, and guide policy. Major donor countries – including France, Japan, China, India, Germany, Italy, the US, and others – formed national teams working on-site, making Angkor’s preservation a truly international undertaking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the%20conservation%20and%20sustainable%20development,Angkor%2C%20and%20until%20the%20Cambodian)).
Following the inaugural Tokyo conference, subsequent high-level intergovernmental conferences have been held roughly once per decade to assess progress and chart future directions. The **second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took place in Paris in November 2003, marking ten years of cooperation, and the **third** was held in Siem Reap in 2013 (presided over by Cambodia’s Prime Minister and attended by French Culture Minister Aurélie Filippetti, among others) to commemorate 20 years of ICC-Angkor. Each of these conferences issued recommendations and renewed commitments for safeguarding Angkor and its surroundings. By 2004, thanks to intensive international conservation efforts and improved site management, Angkor was removed from UNESCO’s Danger List – a milestone hailed as an international “success story” in heritage conservation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According%20to%20UNESCO%2C%20the%20last,government%20and%20UNESCO%27s%20own%20coordination))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With%20international%20assistance%2C%20Cambodia%20has,of%2080%2C000%20other%20explosive%20devices)). UNESCO noted that over the first decade (1993–2004) more than **100 restora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were carried out at Angkor with international assistance, backed by **USD $50 million** in investments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According%20to%20UNESCO%2C%20the%20last,government%20and%20UNESCO%27s%20own%20coordination)). This work included clearing **25,000+ landmines** and unexploded ordnance from the site, establishing heritage police and inventory systems, and largely ending the rampant looting of artifacts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With%20international%20assistance%2C%20Cambodia%20has,of%2080%2C000%20other%20explosive%20devices)). Such achievements underscored the effectiveness of the ICC-Angkor model in rallying global support for Angkor’s preservation.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Development of Angkor**, held on **15 November 2023 at UNESCO Headquarters in Paris**, commemorated the 30th anniversary of the ICC-Angkor’s creation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development of Angkor (15 November 2023): Overview · Indico.UN](https://indico.un.org/event/1008282/#:~:text=The%20fourth%20Intergovernmental%20Conference%20on,from%20members%20can%20be%20processed)). This high-level meeting coincided with UNESCO’s General Conference and gathered representatives of the 14 member states of the ICC, UNESCO officials, experts, and Cambodian leadership. Crucially, the scope of this 4th Conference extended not only to Angkor but also to **Sambor Prei Kuk**, another Cambodian archaeological site (dating to the 6th–7th century Chenla period) that was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in 2017 and brought under the ICC’s coordination in recent years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ICC,and%20Problems%20of%20the%20International)). The inclusion of Sambor Prei Kuk reflects an expanded mandate of the ICC to apply the Angkor cooperation model to other heritage sites in Cambodia. The conference’s overarching **objective** was to evaluate the progress made during the third decad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2013–2023) and to define a strategic vision for the next decade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This%20important%20event%20attended%20by,Kuk%2C%20and%20their%20surrounding%20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organizers set out three priority themes for discussion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More%20specifically%2C%20the%20Conference%20shall,focus%20on%20the%20following%20points)):
- **Protection of Heritage in a Context of Growth:** Devising measures to safeguard the **integrity and authenticity** of the Angkor and Sambor Prei Kuk World Heritage sites against pressures from rapid urbanization and population growth in their surrounding regions, while also meeting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needs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environmental%2C%20economic%20and%20social%20demands)). In practice, this means finding a sustainable balance between heritag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 ensuring that expanding cities, infrastructure, and tourism around the sites do not undermine the cultural or ecological value of the ancient monuments.
- **Advancing Science and Technology in Conservation:** **Assessing the use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for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at Angkor/Sambor Prei Kuk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meeting%20environmental%2C%20economic%20and%20social,demands)). After 30 years, conservation practices at Angkor have evolved from emergency stabilization to sophisticated restoration. The conference sought to review how tools like digital documentation (e.g. 3D laser scanning of temples), structural engineering analyses, remote sensing (e.g. LiDAR and satellite imaging of the landscape), and other scientific innovations are being applied. Emphasis was placed on how technology can improve monitoring of monument stability, environmental management (such as water system modeling or climate impact assessment), and overall efficiency and rigor in conservation methods.
- **Capacity Building and Knowledge Transfer:** **Strengthening the management capacities and human resources** of Cambodia’s national authorities – primarily the APSARA National Authority (for Angkor) and the Sambor Prei Kuk National Authority – to ensure that expertise is continuously transferred and local teams can eventually take full ownership of site management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for%20cultural%20heritage%20conservation%2C%20and)). This reflects a long-term goal of ICC: moving from heavy foreign expert involvement toward empowering Cambodian professionals to lead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ir heritage. Over three decades, hundreds of Cambodian archaeologists, architects, engineers, conservators and workers have been trained through ICC-coordinated project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embassy%20said%20that%20since,the%20development%20of%20archaeological%20research)). The 2023 conference aimed to identify remaining gaps in capacity and ways to address them via education, training, and institutional support in the coming years.
In summary, the conference’s background is rooted in 30 years of international solidarity for Angkor. It celebrates the **remarkable progress** achieved since 1993 – from rescue to restoration to a model of sustainable heritage management – while acknowledging new **challenges** that have emerged with time (mass tourism, climate change, local community needs, etc.). The objectives were thus twofold: **retrospective assessment** of lessons learned and successes, and **forward-looking planning** to ensure that Angkor and Sambor Prei Kuk are safeguarded in a sustainable manner over the next decade. This included updating policies and priorities in light of global changes and Cambodia’s evolving development context. Cambodian leadership, including His Majesty King Norodom Sihamoni, took a keen interest in leveraging this conference to reinforce cooperation with UNESCO and partners for the benefit of Cambodia’s cultural heritage and its people.
## Ke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 Themes
The conference featured keynote addresses by Cambodian dignitaries and UNESCO officials, as well as thematic presentations by representatives of key partner countries. Together, these speeches and discussions revolved around several **intertwining themes:** celebrating 30 years of achievements, acknowledging current issues (from community livelihoods to climate threats), and mapping out strategies for the future. Below are the highlights of the major presentations and dialogue topics:
- **Royal Keynote – Cambodian Vision and Priorities:** The conference was honored by the presence of **King Norodom Sihamoni** of Cambodia, reflecting the highest level of national commitment. In his opening keynote address, King Sihamoni expressed profound gratitude to UNESCO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eir “close cooperation in the past” and the success of the ICC-Angkor mechanism in preserving Angkor over three decade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release%20said%20that%20during,Father%20Norodom%20Sihanouk)). He paid tribute to the legacy of his father, the late King Norodom Sihanouk, whose 1993 appeal initiated this intergovernmental effort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release%20said%20that%20during,Father%20Norodom%20Sihanouk)). The King then outlined **several main points of Cambodian government policy** for heritage in the new era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King%20outlined%20several%20main,Angkor%20and%20combat%20climate%20change)). Foremost was a **focus on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articularly in **traditional skills and ancestral crafts** that are vital for conservation (such as stone carving, woodwork, conservation science). Strengthening these skills among Cambodians ensures sustainability of preservation efforts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http://m.en.freshnewsasia.com/index.php/en/localnews/42821-2023-11-19-03-25-02.html#:~:text=,19)). Next, he highlighted the **fight against trafficking of artifacts** as a national priority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http://m.en.freshnewsasia.com/index.php/en/localnews/42821-2023-11-19-03-25-02.html#:~:text=,19)). Despite improved site security, the illicit trade in Khmer antiquities (both looted artifacts and illicit sales) continues to be a concern; Cambodia seeks international support to recover stolen heritage and prevent further loss. The King also spoke about **preparations for future UNESCO inscriptions** of Cambodia’s heritage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http://m.en.freshnewsasia.com/index.php/en/localnews/42821-2023-11-19-03-25-02.html#:~:text=,19)) – implying that Cambodia intends to nominate more of its cultural and intangible heritage for World Heritage or Intangible Heritage status, building on the success of Angkor, Preah Vihear, Sambor Prei Kuk, and art forms like the Royal Ballet. In this regard, he stressed establishing a strong **legal framework to preserve the value of Angkor** and other heritage sites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http://m.en.freshnewsasia.com/index.php/en/localnews/42821-2023-11-19-03-25-02.html#:~:text=ancestral%20crafts%2C%20the%20fight%20against,19)), which includes national laws and regulations to protect heritage from vandalism, unlawful construction, and climate impacts. Additionally, King Sihamoni underscored the imperative of **combating climate change** as it affects heritage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http://m.en.freshnewsasia.com/index.php/en/localnews/42821-2023-11-19-03-25-02.html#:~:text=ancestral%20crafts%2C%20the%20fight%20against,19)). He noted that changing climate patterns pose risks to Angkor’s long-term preservation – for example, more extreme rainfall, droughts, or vegetation shifts could damage temple structures and their surrounding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She%20warned%20that%20Angkor%20currently,serious%20natural%20and%20societal%20imbalances)). All these points illustrate Cambodia’s holistic view that safeguarding heritage is linked with environmental stewardship, community well-being, and cultural continuity. The King extended an invitation for UNESCO to **send technical experts to Cambodia** to assist with these endeavors (training, anti-trafficking measures, preparing nominations, legal protection, climate adaptation)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http://m.en.freshnewsasia.com/index.php/en/localnews/42821-2023-11-19-03-25-02.html#:~:text=establishment%20of%20a%20legal%20framework,19)). This was effectively a call for continued international partnership, with UNESCO’s expertise helping to build local capacity. By articulating these priorities, the King set the tone for the conference – one that bridges heritage conservation with broader developmental goals and urges sustained cooperation.
- **UNESCO Leadership – Global Support and Community Focus:** UNESCO Director-General **Audrey Azoulay** hosted and participated in the conference, signaling UNESCO’s strong support. In her remarks responding to King Sihamoni, Azoulay welcomed Cambodia’s requests and affirmed UNESCO’s commitment to **strengthen cooperation in various fields to promote the values of humanity’s heritage**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Azoulay%20welcomed%20the%20King%E2%80%99s%20human,temples%20and%20other%20heritage%20sites)). She praised Angkor as a symbol of cultural heritage of universal value, and emphasized the need to **protect local communities** who live in and around these heritage zone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Azoulay%20welcomed%20the%20King%E2%80%99s%20human,temples%20and%20other%20heritage%20sites)). This reflects a significant theme: heritage conservation should go hand-in-hand with respecting and benefiting the communities who are custodians of the sites. Azoulay highlighted balancing tourist development with conservation, noting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 **“balance of tourist flow through rigorous management”** to avoid both overcrowding and neglect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Azoulay%20welcomed%20the%20King%E2%80%99s%20human,temples%20and%20other%20heritage%20sites)). With millions of visitors to Angkor annually (pre-pandemic), tourism provides economic benefits but also stresses the monuments and local infrastructure. The discussion acknowledged ongoing efforts to implement sustainable tourism practices – such as limiting visitor numbers at sensitive temples, creating alternate circuits to spread foot traffic, and engaging tourists in respecting sacred space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Azoulay%20welcomed%20the%20King%E2%80%99s%20human,temples%20and%20other%20heritage%20sites)). Azoulay also underscored the **sacred value of the Angkor temples**, not just their historical and aesthetic significance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further%20strengthening%20cooperation%20in%20various,temples%20and%20other%20heritage%20sites)). This is a reminder that Angkor is a living heritage landscape with active religious sites and deep spiritual meaning for Cambodians, thus conservation must preserve its spirit and not reduce it to a mere tourist attraction. UNESCO’s stance, as conveyed by the DG, reinforced that **multilateralism and solidarity** remain key – calling Angkor’s ICC an exemplar of effective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heritage. Indeed, a tweet from the French Embassy during the conference echoed this, calling ICC-Angkor *“an example of multilateralism as a way to protect heritage,”* and noting that France and Japan have co-chaired the ICC for the past 30 year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French%20embassy%20in%20Cambodia,renewed%20for%20a%204th%20decade)). Azoulay’s intervention aligned with the King’s points but placed special **emphasis on community and global public good**, framing Angkor’s preservation as part of UNESCO’s mandate to safeguard world heritage for all humanity.
- **Cambodian Government Officials – Progress and Challenges:** Several Cambodian officials provided updates and reflections. **Mrs. Phoeurng Sackona,** Minister of Culture and Fine Arts, spoke about Cambodia’s achievements in preserving Angkor and the ongoing effort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Speaking%20at%20the%20conference%20on,will%20continue%20with%20its%20work)). She affirmed that after decades of work, Angkor’s conservation is on firm footing and the government will **“continue with its work”** to maintain the site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Speaking%20at%20the%20conference%20on,will%20continue%20with%20its%20work)). However, she also issued a caution regarding **new challenges**. Notably, Minister Sackona highlighted **climate change** as a serious emerging threat to Angkor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She%20warned%20that%20Angkor%20currently,serious%20natural%20and%20societal%20imbalances)). Scientific consensus indicates that climate shifts could lead to “serious natural and societal imbalances,” she warned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She%20warned%20that%20Angkor%20currently,serious%20natural%20and%20societal%20imbalances)). For example, prolonged droughts can dry out the soil and foundations, while intense rains can cause erosion or structural stress; changing weather might also impact the surrounding forests that protect the temples. In response, she stressed, *“We must do our best to preserve water and plant cover as best as we can in the Angkor forest and in the historical baray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We%20must%20do%20our%20best,past%2030%20years%2C%E2%80%9D%20she%20said)) Her statement underscores that **nature and culture are intimately linked** at Angkor – the ancient Khmers themselves engineered an elaborate water management system (baray reservoirs, moats, canals) and lived in a delicate balance with their environment. Preserving Angkor’s fabric, therefore, requires conserving the broader landscape (forests, water bodies, biodiversity). This integrated approach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around Angkor was a key discussion theme, resonating with global conversations on linking World Heritage sites to their natural context and resilience. In addition, Minister Sackona reaffirmed Cambodia’s commitment to improving site management and working closely with international experts to address issues like monument restoration, tourism, and community development.
Another perspective came from **Dr. Hang Peou,** Director-General of the APSARA National Authority (ANA), which is the Cambodian agency in charge of managing Angkor. Hang Peou’s presentation was particularly notable for sharing **on-the-ground management experiences**. He focused on recent efforts to **protect Angkor’s core archaeological zones by relocating informal settlers** who had encroached within the park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Director,Ek%20and%20Peak%20Sneng%20areas)). Due to population growth, many families had settled in Angkor’s protected area over the years, some establishing villages or businesses not in line with preservation regulations. This jeopardizes the site’s integrity – for instance, land clearing for houses or agriculture can damage archaeological remains and the traditional landscape. Hang Peou reported that the government identified those residents living “illegally” in Angkor and arranged for their voluntary relocation to new development areas outside the park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Director,Ek%20and%20Peak%20Sneng%20areas)). Specifically, two resettlement sites – **Run Ta Ek** and **Peak Sneng** – were created to provide land, housing, and amenities for the relocated communitie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Director,Ek%20and%20Peak%20Sneng%20areas)). At the conference, Hang Peou even presented images of the Run Ta Ek development, showing infrastructure like a market built for the relocated population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As%20you%20can%20see%20here%2C,Run%20Ta%20Ek%20development%20area)). He clarified that not all residents of the 112 villages in the Angkor area were moved, “but those who had settled illegally were moved”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He%20said%20the%20ICC%20co,had%20visited%20both%20relocation%20sites)). This implies the operation was targeted at recent encroachers rather than long-established local communities. Hang Peou’s sharing of this case served as a **case study in balancing heritage conservation with social concerns**. It sparked discussion on how to ensure relocated families have sustainable livelihoods and adequate facilities, and how to prevent future encroachment by involving local stakeholders in conservation efforts. The ICC co-chairs (France and Japan) had even **visited the relocation sites** to inspect conditions, indicating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concern for the welfare of displaced resident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re%20%E2%80%9Cillegally%E2%80%9D%20to%20the%20Run,Ek%20and%20Peak%20Sneng%20areas)). This topic segued into a broader theme of the conference: the importance of **inclusive policies that involve local communities** rather than top-down decisions. While the relocation was presented by Cambodian authorities as necessary for Angkor’s protection (and carried out with compensation and new land), it has drawn criticism from human rights observers as being forced. The French Ambassador’s later remarks (discussed below) touched on resolving outstanding issues regarding resettlements, underscoring that such social dimensions are now central in heritage discourse.
- **International Partners – Commitments and Future Focus:** Given the ICC’s structure, key donor countries took the floor to reaffirm their support and outline how they see the next decade of collaboration. The co-chair nations, **Japan and France**, spoke to their long-standing partnership with Cambodia. **H.E. Atsushi Ueno**, Ambassador of Japan to UNESCO, emphasized Japan’s ongoing commitment as ICC co-chair to work “with its French counterparts and the Cambodian government to preserve Angkor and Sambor Prei Kuk”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Ambassador%20of%20Japan%20Atsushi%20Ueno%2C,on%20capacity%20building%20for%20preservation)). He highlighted a priority on **capacity building for preservation**, indicating Japan will continue to help train Cambodian experts and support knowledge transfer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Ambassador%20of%20Japan%20Atsushi%20Ueno%2C,on%20capacity%20building%20for%20preservation)). This is unsurprising as Japan has, since the 1990s, contributed extensive expertise (for example, Japanese teams have led the restoration of **Angkor Wat’s causeway**, the **Bayon Temple**, and other projects, alongside training programs). Japan’s message reinforced that the technical and financial aid will not wane, especially in fields of conservation science, archaeology, and tourism management.
**H.E. Jacques Pellet**, Ambassador of France, offered a perspective intertwined with both pride in past achievements and a vision for the future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Jacques%20Pellet%2C%20ambassador%20of%20France%2C,human%20capital%20and%20sustainable%20development))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Sustainable%20development%20means%20local%20communities,they%20are%20taking%2C%E2%80%9D%20he%20said)). France’s role as co-chair since 1993 was celebrated – the French Embassy noted that its cooperation has enabled restoration of major monuments like the **Baphuon temple (Angkor’s second-largest temple-mountain)** and the ongoing restoration of **Western Mebon** (a large temple in Angkor’s West Baray reservoir)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embassy%20said%20that%20since,the%20development%20of%20archaeological%20research)). Additionally, France has supported “heritage training for hundreds of professionals and the development of archaeological research” at Angkor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embassy%20said%20that%20since,the%20development%20of%20archaeological%20research)), building local expertise over generations. Ambassador Pellet affirmed that the **co-chair mandate of France and Japan has been renewed for a fourth decade** (another 10 years) by the conference consensu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French%20embassy%20in%20Cambodia,renewed%20for%20a%204th%20decade)). This continuity of leadership was welcomed by Cambodia’s King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climate%20change)) and signals trust in the existing framework. Looking ahead, Pellet said the ICC’s focus in the next decade will be on **“human capital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Jacques%20Pellet%2C%20ambassador%20of%20France%2C,human%20capital%20and%20sustainable%20development)) In his words, *“Sustainable development means local communities should be fully involved in the project.”*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Sustainable%20development%20means%20local%20communities,they%20are%20taking%2C%E2%80%9D%20he%20said)) He stressed that during the decade beginning now, it should be possible to resolve the concerns about the resettlement of some local population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Sustainable%20development%20means%20local%20communities,they%20are%20taking%2C%E2%80%9D%20he%20said)). By explicitly identifying **community involvement and resettlement issues as “the real issue” to tackle**, the French representative acknowledged that past conservation-centric approaches need to evolve into people-centric approaches. He thanked the Cambodian authority (APSARA) for steps taken so far and strongly recommended that **local community representatives be present in future ICC meetings**, especially when discussing resettlement and livelihood matter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Pellet%20also%20commended%20that%20in,regarding%20resettlement%20and%20preservation%20work)). This was a significant statement: it suggests opening up what has traditionally been an expert and government forum to include voices of those directly affected on the ground, increasing transparency and inclusivity. Pellet’s remarks also touched on climate and environment by implic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inherently covers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he supported the idea that protecting Angkor goes along with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its neighbors.
Other ICC member state delegates (from China, India, etc.) likely echoed similar themes, though detailed records of their speeches were not fully reported in media. It can be inferred that most international partners congratulated Cambodia on the successful preservation of Angkor and affirmed their continued assistance. Given that ICC membership includes countries across Asia, Europe, and the Americas, some might have shared **technical case studies** of their work (for example, India might mention its restoration of Ta Prohm temple, or China its conservation of Chau Say Tevoda, as part of the ICC efforts). The **multilateral spirit** of the meeting was consistently highlighted – France’s ambassador called ICC-Angkor a model of “effective multilateral cooperation”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French%20embassy%20in%20Cambodia,renewed%20for%20a%204th%20decade)), and indeed the gathering in Paris symbolized how Angkor’s preservation has been a peaceful international endeavor transcending political differences.
- **Thematic Discussions – Technology and Integrated Management:** In addition to these speeches, the conference agenda included thematic discussions aligning with the stated focus area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pplications** in conservation were addressed, drawing on 30 years of innovation at Angkor. Participants noted how projects have evolved from the 1990s (which relied on traditional methods of anastylosis – dismantling and reassembling temples stone by stone) to today’s use of digital tools. For instance, laser scanning and photogrammetry have been employed to create precise 3D models of temples like Bayon and Angkor Wat for monitoring their structural condition. **Remote sensing** (such as LIDAR surveys) has revolutionized understanding of Angkor’s wider landscape, revealing ancient urban grids and water systems hidden in forests, which aids in managing land use around the park. The role of space technology was also exemplified by initiatives like a recent Chinese project using satellite imagery to help heritage protection ([Space Technologies for Sustainable Heritage: 10th anniversary of ...](https://www.nature.com/articles/s40494-021-00630-0#:~:text=Space%20Technologies%20for%20Sustainable%20Heritage%3A,Site%2C%20Monitoring%20Landscape%20Evolution)). At the conference, experts likely shared how **engineering research** has improved interventions – e.g., the use of micro-grouting to stabilize foundations, or the development of new stone treatment techniques for weathered carvings. UNESCO has encouraged making Angkor a “laboratory” for heritage science, and the ICC provides a platform to disseminate these advancements. The consensus was that continued **integration of cutting-edge technology** will be vital for tackling issues like structural stability (especially under heavier tourist loads and heavier rains from climate change) and long-term monitoring of temple health. Technology also plays a role in presentation and education – digital reconstructions of Angkorian sites and virtual tourism were briefly touched upon as means to educate the public and relieve physical pressure on the monuments.
Another cross-cutting theme was the **integration of heritage preservation with regional planning**. As Angkor exists within a living region (Siem Reap province), coordination with urban planning,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community development is necessary. The conference discussed Cambodia’s efforts to ensure that roads, hotels, and other infrastructure around Angkor are developed in a controlled way. For example, a ring road keeps heavy traffic away from temple areas, and building height limits in Siem Reap city protect skyline views. The Ministry of Culture announced at the conference that a key outcome is to **focus on strategic planning for local communities around Angkor to support their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showing that heritage goals are being embedded into local development plans ([ICC Angkor-Sambo Prei Kuk Conference focuses on local community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 Open Development Cambodia (ODC)](https://opendevelopmentcambodia.net/en/news/icc-angkor-sambo-prei-kuk-conference-focuses-on-local-community-conservation-and-development/#:~:text=The%20Ministry%20of%20Culture%20and,%E2%80%A6)). This aligns with the n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repeatedly emphasized: heritage sites should bring tangible benefits to locals (through jobs, cultural pride, improved environment) so that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reinforce each other rather than conflict.
In summary, the key presentations collectively painted a picture of strong partnership and shared purpose. The **discussion themes** ranged from celebrating the ICC’s 30-year journey and the tangible restoration successes, to candid acknowledgement of present challenges such as climate adaptation and community resettlement. There was a notable **shift in tone** compared to earlier decades – whereas the 1993 and 2003 conferences focused on emergency rescue and then large-scale restoration, the 2023 conference’s keywords were **sustainability, human capital, community, and adaptation**. This reflects both the maturation of the Angkor programme and evolving global norms in heritage management (emphasizing community rights and climate action). The presence and voices of Cambodia’s King and officials ensured that national ownership and priorities were clearly communicated, while UNESCO and international partners reiterated their commitment, with nuanced expectations for more inclusive and holistic approaches in the coming years.
## Policy Recommendations Issued
One of the most critical outcomes of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was a set of **policy recommendations and decisions** to guide the safeguarding and development of Angkor (and Sambor Prei Kuk) in the next decade. These recommendations, agreed upon by the participating governments and organizations, are rooted in the conference discussions and address the identified needs. The conference’s final report and declaration distilled numerous points into concrete directives. Key recommendations included:
- **Renewal of the ICC-Angkor Mandate and Co-Chairmanship:** The conference formally **extended the mandate of the Inter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ICC) for another ten years**, preserving its structure and function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climate%20change)). This means the ICC-Angkor mechanism – with UNESCO as standing secretariat and France and Japan as co-chairs – will continue through 2033 to oversee projects at Angkor and Sambor Prei Kuk. Both co-chair countries were confirmed to remain in their roles for this fourth decade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French%20embassy%20in%20Cambodia,renewed%20for%20a%204th%20decade)), reflecting confidence in their leadership. The renewal was accompanied by encouragement for the ICC to **adapt its working methods** as needed to address new priorities (for example, increasing involvement of additional stakeholders like local community reps, as noted below). This decision ensures continuity in international support and coordination, preventing any lapse that could arise if the ICC’s term expired.
- **Enhanced Community Engagement and Inclusion:** A major policy direction was to **integrate local communities more fully into heritage management and benefits**. The conference recommended developing mechanisms for **regular consultation with communities** living around Angkor and those relocated from the park, so that their voices inform decision-making. It was suggested that the ICC and APSARA Authority create community advisory councils or forums. In line with the French Ambassador’s remarks, the conference urged that **community representatives be invited to future ICC meetings** (at least on specific issues like resettlement, tourism impact, etc.)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Pellet%20also%20commended%20that%20in,regarding%20resettlement%20and%20preservation%20work)). This is a noteworthy shift towards participatory governance. Additionally, policies we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of communities near Angkor as part of the conservation strategy – for instance, supporting community-based tourism, crafts marke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at allow locals to gain income and pride from their heritage. By doing so, the communities become partners and beneficiaries in preservation, reducing the likelihood of conflicts (such as illegal settlement or resource exploitation in protected zones). A specific outcome repor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was the intention to **“focus on … strategic planning for local communities around Angkor … to support economic and cultural development.”** ([ICC Angkor-Sambo Prei Kuk Conference focuses on local community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 Open Development Cambodia (ODC)](https://opendevelopmentcambodia.net/en/news/icc-angkor-sambo-prei-kuk-conference-focuses-on-local-community-conservation-and-development/#:~:text=The%20Ministry%20of%20Culture%20and,%E2%80%A6)). This implies policies that align regional development plans (housing, agriculture, services) with heritage conservation objectives, ensuring that local people see tangible development benefits. Furthermore, addressing past resettlement issues was explicitly recommended: the conference called for a review of the Run Ta Ek/Peak Sneng relocation project outcomes and, if needed, additional support to the affected families (such as infrastructure, livelihood training, and perhaps land title grants) to fully meet their needs. In essence, a policy shift from treating community issues as external to conservation, to making them **central to the conservation policy framework**, was endorsed.
-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Education:** Consistent with King Sihamoni’s emphasis, a set of recommendations targeted **capacity building**. The conference urged expansion of training programs for Cambodian professionals in all fields related to heritage – archaeology, architecture, engineering, conservation science, museum curation, tourism management, etc. UNESCO was asked to facilitate technical missions and possibly twinning arrangements between Cambodian institutions and foreign centers of excellence. For example, training in traditional building crafts (masonry, carving, traditional masonry techniques) is to be ramped up so that young Cambodians can carry on the work of temple restoration as foreign experts phase out. The King had specifically highlighted ancestral crafts training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http://m.en.freshnewsasia.com/index.php/en/localnews/42821-2023-11-19-03-25-02.html#:~:text=,19)); thus a recommendation was to establish or strengthen **crafts training schools** (or apprenticeships under master artisans) under APSARA authority, possibly with support from countries like Japan and France that have expertise in conservation training. Another aspect is academic development: scholarships and research opportunities for Cambodians in heritag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will be increased. The conference also noted the success of programs that sent Cambodian staff for study or internships abroad in the past, and recommended their continuation. The underlying policy goal is to ensure that by the end of the next decade, **Cambodia achieves self-sufficiency in heritage expertise**, reducing reliance on foreign consultants. Echoing the ICC’s own reflections, it was noted that *“until the Cambodian authority becomes fully autonomous,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essential”*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teams%20working%20on%20the%20ground,The)), so capacity building is the path to that autonomy. In a related vein, the conference recommended integrating heritage education into local curricula and community outreach, so that awareness of Angkor’s value and conservation practices permeates all levels of society (creating a pipeline of future heritage professionals and a public that supports preservation).
- **Combatting Illicit Trafficking and Legal Protection:** Strengthening legal and law-enforcement frameworks came out as a priority recommendation. Responding to the King’s call, the conference urged Cambodia to continue updating its **heritage laws and regulations** to close loopholes that allow illicit excavation or sale of artifacts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http://m.en.freshnewsasia.com/index.php/en/localnews/42821-2023-11-19-03-25-02.html#:~:text=,19)). It recommended tighter patrol and monitoring of the site combined with community policing (encouraging locals to report suspicious activities). UNESCO and Interpol were called upon to assist in tracking stolen artifacts on the international art market and facilitating their return – a continuation of efforts that in recent years have seen prominent Khmer statues repatriated. The policy suggestion is to create a comprehensive inventory of artifacts and a stronger legal deterrent (harsher penalties for looters and traffickers). At the same time, the conference recognized that poverty can drive looting, so it tied back to community development: improving local livelihoods as a preventative measure against trafficking. Additionally, the **protection of Angkor’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n the face of modern development pressures was stressed. The Cambodian government was encouraged to enforce zoning laws around the World Heritage property – for example, preventing uncontrolled construction or quarrying near the park. A specific legal initiative mentioned was the *“establishment of a legal framework to preserve the value of Angkor”* that the King had referenced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http://m.en.freshnewsasia.com/index.php/en/localnews/42821-2023-11-19-03-25-02.html#:~:text=ancestral%20crafts%2C%20the%20fight%20against,19)). This likely involves new regulations for land use,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heritage impact assessments for any project in the Angkor region. The conference supported such measures, recommending that heritage impact assessments be mandatory for infrastructure projects (roads, utilities, etc.) around Angkor and Sambor Prei Kuk. These policy measures aim to ensure that national legislation keeps pace with and underpins conservation needs.
- **Tourism Manag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ies:** Given the importance of tourism, the conference put forward recommendations on regulating tourism to make it sustainable. One key recommendation was the development of an updated **Sustainable Tourism Management Plan** for Angkor for the next 5–10 years. This plan would set guidelines on visitor numbers, allowable routes, timings (perhaps introducing timed ticketing for popular temples to prevent overcrowding), and improved interpretation services to enhance visitor experience without damaging the site. The UNESCO Director-General’s note about maintaining a balance in tourist flows through rigorous management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Azoulay%20welcomed%20the%20King%E2%80%99s%20human,temples%20and%20other%20heritage%20sites)) was formalized as policy advice. The conference suggested implementing a monitoring system for visitor impact (erosion of stone steps, humidity in enclosed spaces, etc.) and adjusting tourist access accordingly. Another recommendation was diversifying tourist attractions in the Siem Reap region – encouraging visits to lesser-known temples or cultural experiences (such as local craft villages) to relieve pressure on Angkor’s main temples and spread economic benefits. This ties into the idea of linking Angkor and Sambor Prei Kuk: tourists could be offered circuits that include both, which would draw some visitors to Sambor Prei Kuk (in Kampong Thom province), aiding that newer World Heritage site’s development and reducing some load at Angkor. **Infrastructure for tourism** was also addressed: the conference endorsed Cambodia’s plans to build a new museum and improved visitor centers with educational exhibits about Angkor’s history and conservation, so tourists gain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 site. Moreover, in policy terms, the ICC recommended maintaining the cap on hotel development immediately around Angkor and continuing to supply Siem Reap city with water from sustainable sources (surface water) rather than drilling more wells near Angkor, as part of protecting the temples’ structural stability ([政府説明資料](https://www2.jica.go.jp/en/evaluation/pdf/2021_CP-P26_1_s.pdf#:~:text=,industries%20such%20as%20tourism%3B%20and)). All these measures fall under a comprehensive sustainable development approach where Angkor’s preservation is integrated with tourism and city planning.
-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conference issued forward-looking recommendations to address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It urged the development of a **Climate Adaptation Strategy for Angkor and Sambor Prei Kuk**, which would include actions like: regular assessment of how climate phenomena (rainfall, temperature, vegetation changes) are affecting the sites; strengthening drainage around temples to prevent water damage; safeguarding the historic baray reservoirs and waterways as both cultural assets and functional water management systems; and planting and conserving trees to maintain the ecological balance and ground stability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We%20must%20do%20our%20best,past%2030%20years%2C%E2%80%9D%20she%20said)). The recommendation also included conducting a vulnerability analysis to identify which structures are most at risk from things like increased storms or biological growth, and prioritizing interventions there. Recognizing the need for expertise, the conference appealed for international support in terms of research and perhaps funding for climate adaptation projects at Angkor (for instance, partnerships with climate scientists or hydrologists to advise APSARA). Additionally, environmental policies around the site were reinforced – for example, controlling pollution and waste in the park (to keep the environment pristine and avoid chemical erosion of stones) and preventing illegal logging or land clearing in the Angkor park’s buffer zone. Essentially, the policy direction is to treat **heritage conservation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s two sides of the same coin**, mandating that the management of Angkor’s forests, water resources, and wildlife is part of the heritage mandate. This was encapsulated by the notion that “nature and culture are intimately linked” at Angkor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We%20must%20do%20our%20best,past%2030%20years%2C%E2%80%9D%20she%20said)), leading to recommendations for inter-agency cooperation (between heritage authorities and environment ministries) within Cambodia.
-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 Documentation and Monitoring:** In light of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conference recommended investing in the **digitization and documentation** of Angkor’s vast heritage. A policy decision was to continue comprehensive 3D scanning of all major Angkor monuments (many have been scanned but updates are needed after restoration work or natural wear). The creation of a detailed digital archive serves both preservation (a record to guide future restoration even if parts are damaged) and educational outreach (virtual Angkor tours). The recommendation also covered expanding the use of remote sensing to monitor land-use changes around Angkor, and perhaps establishing an **early warning system** for structural problems – for example, using sensors or periodic surveying to detect if a temple is tilting or stones are shifting, so repairs can be done proactively. The ICC noted the success of past tech collaborations (like the Japanese team’s installation of instruments in Bayon temple to monitor its stability) and encouraged scaling up such initiatives. To coordinate this, it was suggested to create a **Science and Technology Task Force** under ICC-Angkor that brings together engineers, scientists, and ICT experts from different countries to advise on high-tech solutions for Angkor’s conservation. Lastly, the policy recommendations advocated for open data sharing: making the research and data from Angkor’s projects widely available to the global heritage community, cementing Angkor’s place as a model site for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and innovation in conservation.
In aggregate, these recommendations amount to a comprehensive action plan melding preservation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They reflect lessons learned over 30 years – for example, earlier ICC conferences also produced recommendations (the **2003 Second Conference** issued 128 recommendations on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CC-Angkor: 20 year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conservation ...](https://unesdoc.unesco.org/ark:/48223/pf0000227277_eng#:~:text=,FOR%20THE%20SAFEGUARDING%20AND)), many of which have been implemented). The 2023 recommendations similarly aim to be practical and “owned” by stakeholders so they can be implemented by the next conference. The tone is one of **pragmatism and partnership**: Cambodia is tasked with internal policy reforms (laws, community engagement, planning) and is assured of continued external support for technical and financial needs. Importantly, the recommendations explicitly tie into the global agenda of sustainable development (echoing Cambodia’s integration of heritage in its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UNESCO’s emphasis on cultur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r instance, by linking heritage preservation with goals like quality education, decent work for communities, reduced inequalities (for those living in heritage zones), climate action, etc., these outcomes align with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emphasis o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heritage, addressed in a later section, also shows up in recommendations – essentially calling donors to align their aid to Cambodia with these identified priority areas (training, community projects, climate adaptation, etc.).
The **policy recommendations** from this Fourth Conference were formally documented (in meeting minutes or a declaration) and will serve as a roadmap for the ICC-Angkor and the Cambodian authorities. They represent consensus decisions, so all member countries of the ICC are expected to help implement them within their capacities – whether by funding certain initiatives or providing expertise. By adopting these recommendations, the conference ensured that its lofty discussions translate into actionable commitments that honor the past gains and proactively tackle future needs of Angkor and Sambor Prei Kuk’s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 Shared Case Studies and On-site Experiences
Throughout the conference, participants shared various **case studies, practical examples, and on-site experiences** to illustrate challenges and successes in managing Angkor and similar heritage contexts. These real-world examples enriched the discussions, grounding policy deliberations in concrete lessons. Some of the prominent case studies and experiences highlighted include:
- **Resettlement Program at Angkor – Run Ta Ek Village:** As discussed in the presentations, the Cambodian authorities shared the case of relocating inhabitants from within Angkor Park to newly developed sites. This was one of the most salient on-site experiences, showing how Cambodia navigated a sensitive issue of human settlements in a heritage zone. **Hang Peou’s presentation on Run Ta Ek** served as a detailed case study. He described how several hundred families who had been living and farming inside the Angkor Archaeological Park (often in prohibited zones near temple ruins) were voluntarily moved to Run Ta Ek, a purpose-built village about 20 km away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Director,Ek%20and%20Peak%20Sneng%20areas)). At Run Ta Ek, each family received a plot of land and housing support; infrastructure like roads, wells, a school, a market, and a pagoda have been established to create a livable community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As%20you%20can%20see%20here%2C,Run%20Ta%20Ek%20development%20area)). During the conference, photos of Run Ta Ek’s market, houses, and community facilities were shown to demonstrate that the resettlement was undertaken with development in mind, not just eviction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As%20you%20can%20see%20here%2C,Run%20Ta%20Ek%20development%20area)). The **on-site experience** from this project provided many insights: for instance, i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reparing the destination site well in advance (initially, some families were hesitant until they saw amenities in place), and the need for ongoing support (job creation in Run Ta Ek is crucial so that people do not drift back to Angkor or become impoverished). International experts who had monitored this process – including teams from France and Japan – weighed in with observations, acknowledging that while the physical relocation was efficiently executed, the **social-cultural impact** on the communities needs continuous attention. The case sparked discussion on how to mitigate the trauma of displacement. Lessons from other countries (e.g., relocations around African national parks or Asian infrastructure projects) were referenced to suggest best practices like involving communities in planning, providing equivalent or better livelihoods, and ensuring cultural continuity (for example, relocated villagers were allowed to maintain their spiritual traditions by building a new pagoda at Run Ta Ek since leaving behind the ancestral pagodas at Angkor was emotionally difficult). The Run Ta Ek case study ultimately demonstrated Cambodia’s commitment to both conservation and people, and provided a template (though not without critique) for heritage-related resettlement that other countries might study. It also underscored the conference’s consensus that such experiences must be **monitored and evaluated** – one recommendation was for ICC experts to conduct periodic assessments of Run Ta Ek/Peak Sneng and advise on improvements, making this an evolving case study.
- **Restoration of Baphuon Temple (1995–2011):** To celebrate the achievements of 30 year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restoration of the Baphuon temple** in Angkor Thom was highlighted as a flagship case study of successful heritage conservation. The Baphuon, a massive 11th-century pyramidal temple, had partially collapsed and was in a state of ruin by the 20th century. A French-led team (EFEO – École française d’Extrême-Orient) began restoration in the 1960s by disassembling the temple (each stone meticulously numbered), but work halted during Cambodia’s conflicts. In the 1990s the project resumed under ICC coordination, often cited as the world’s largest 3D puzzle because tens of thousands of stones had to be reassembled without the original plans (Khmer Rouge era upheavals had scattered records) ([Visiting the Baphuon Temple with a 2000s Restoration Team Member](https://cambodianess.com/article/visiting-the-baphuon-temple-with-a-2000s-restoration-team-member#:~:text=Member%20cambodianess,was%20taken%20in%20the%202000s)). Conference delegates familiar with this project recounted how over 16 years, international and Cambodian experts collaborated to reconstruct Baphuon, which was finally inaugurated in 2011. It stands now as a testament to patience and international commitment. The **lessons learned** from Baphuon include the value of detailed documentation (earlier anastylosis efforts underline why recording every stone is crucial), the importance of having continuity of expertise (some senior conservators worked on it for decades), and training – many Cambodian architects and engineers cut their teeth on the Baphuon site, and are now leaders in APSARA. The project also demonstrated the ICC’s problem-solving approach: when unexpected issues arose (like subsidence of the soil under the giant reclining Buddha on Baphuon’s west face), the international committee pooled knowledge to address it. This case was shared at the conference not only to laud past work but to instill confidence that similarly complex tasks (like future Sambor Prei Kuk restorations) are achievable with the same perseverance and cooperation. It illustrated how ODA funding from France (and other donors) was put to effective use in a large-scale conservation succes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embassy%20said%20that%20since,the%20development%20of%20archaeological%20research)).
- **Multinational Restoration Efforts (Angkor Wat, Bayon, etc.):** The conference also heard summaries of various restoration projects by different countries, effectively a compendium of case studies:
- **Angkor Wat Conservation:** Teams from Japan and India have worked on Angkor Wat, the crown jewel of the park. Japanese Government Team for Safeguarding Angkor (JSA) notably restored the causeway of Angkor Wat and other structures, while India restored the Angkor Wat bas-reliefs and is currently involved in restoring Ta Prohm. Their experiences underscored the need for cross-disciplinary work – e.g., structural engineers working alongside art historians – and have contributed to developing standardized **guidelines for conservation at Angkor** (sometimes called the “Angkor Charter”) which were initially formulated by ICC experts in the 1990s and refined through practice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actions,and%20local%20community%20representatives%2C%20but)). For instance, one guideline is using anastylosis (original materials) as much as possible and marking any new replacement stone clearly – a principle followed in all these projects.
- **Bayon Temple Project:** The Bayon, with its famous multitude of stone faces, has been a long-running project mainly led by Japan (JSA) and now the APSARA team. Dr. Takeshi Nakagawa, a Japanese expert who devoted over 30 years to Bayon’s conservation, was quoted on the “essence” of the ICC: combining political coordination with expert-level technical discussions across countries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The%20following%20observation%20by%20Dr,concerning%20cultural%20heritage%20conservation%20and)). At the conference, the Bayon project was presented as a case study in complex structural restoration (the temple was in precarious condition due to its sandy foundation). Over years, detailed studies of Bayon’s structure, joint international working groups, and training workshops for Cambodian engineers took place. This led to successful stabilization of many of its towers. The key lesson shared was how **international expert exchanges** within the ICC framework improved outcomes – each country’s team brought different ideas (for example, the French had solutions from European cathedral restorations, the Japanese applied state-of-the-art seismic analysis, etc.), and by debating in ICC Technical Sessions, they avoided duplicating work and collectively chose the best approaches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a,New%20Zealand%20all%20have%20national))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ICC%20meetings%20provide%20excellent%20opportunities,continue%20investing%20in%20such%20work)). The Bayon team’s practice of inviting engineering students to intern on-site was also highlighted as a good practice for capacity building.
- **Western Mebon Restoration:** France shared the on-going case of **Western Mebon**, a smaller temple located on an island in Angkor’s West Baray (water reservoir). This project is relatively newer (started in mid-2010s) and involves unique challenges like working seasonally when water levels allow access. It’s a case study in hydrological conditions affecting heritage. The team had to build temporary dams and drainage to excavate and restore the temple’s base. They also discovered the famous **Vishnu bronze statue fragments** during digs, which added an archaeological dimension. At the conference, this case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adaptability and multi-skilled teams (combining archaeologists, divers, and engineers). It also exemplified how heritage projects can have community and tourism angles – local villagers were employed in the work, and once restored, the Western Mebon will likely become a new attraction, potentially accessible by boat, thus diversifying tourism. The lesson here is that even smaller or remote sites are crucial to Angkor’s overall landscape and merit attention – a point that buttressed the inclusion of Sambor Prei Kuk in the ICC’s scope (since it, too, is a bit remote and needs donor support).
- **Heritage Training Programs:** A less tangible but vital “experience” shared was the story of how Cambodians were trained through ICC programs. One example often cited: the **Stone Conservation Unit** within APSARA was set up with support from Italian and German experts who provided hands-on training in conserving temple carvings and stabilizing stone surfaces. Trainees from the 1990s and 2000s are now experts leading projects. The conference showcased testimonials from Cambodian conservators who benefited from scholarships or on-site apprenticeships. For instance, some staff studied in France or Japan under ICC scholarships and returned with masters or PhDs, significantly boosting local expertise. These human-interest stories function as case studies proving the efficacy of **“train-the-trainer”** approaches – initial trainees eventually train the next generation. Such experiences reinforced the recommendation to continue and expand training (the polic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mentioned earlier). Additionally, the **APSARA Heritage School** (established in Siem Reap for training technicians in heritage management) was discussed as a model that could be further supported by ICC members. The general consensus from these training case studies is that investment in people yields exponential returns for heritage preservation.
- **Application of Technology – LiDAR and Water Management Studies:** On the technological front, an interesting case study shared was the use of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aerial laser scanning in Angkor. A few years prior, a collaboration involving UNESCO and University of Sydney conducted LiDAR surveys over Angkor, revealing a vast urban network of roads, mounds, and previously unknown temples beneath the forest canopy. This discovery was a case study in how high-tech tools can revolutionize understanding of a site. At the conference, this was referenced to illustrate the importance of continuously updating knowledge of Angkor’s context. It directly influenced management – for example, knowing the full extent of ancient remains helps APSARA Authority decide where not to allow modern construction or how to plan drainage (since the old canals should be respected). Another case was **groundwater management**: When Siem Reap city’s rapid expansion and water drilling in the 2000s raised alarms about subsidence under Angkor (the temples sit on sandy soil above the water table), a JICA-funded project conducted hydro-geological studies and implemented a plan to shift water sourcing to a nearby river. This was a vital case study in preventive action. The conference noted that thanks to this project, the city now uses treated surface water, which both meets the needs of residents/tourists and helps **“conserve the Angkor Wat ruins by using surface water rather than extracting groundwater from beneath the ruins.”** ([政府説明資料](https://www2.jica.go.jp/en/evaluation/pdf/2021_CP-P26_1_s.pdf#:~:text=,industries%20such%20as%20tourism%3B%20and)). It’s a striking example of how solving a public utility problem (urban water supply) was directly linked to heritage preservation. Such integrated case studies strengthen the argument for holistic site management. They also exemplify positive ODA outcomes (Japan’s aid in this case) that simultaneously achiev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goals – a theme that would be expanded in the ODA section.
- **Sambor Prei Kuk – New Site, New Challenges:** Participants also shared experiences from **Sambor Prei Kuk**, since it is now under the ICC umbrella and was explicitly mentioned in the conference title. Sambor Prei Kuk, being more recently inscribed (2017), is at an earlier stage of international assistance. Cambodia’s culture ministry and ICC partners recounted initial projects there: documenting the brick temples, emergency stabilization of some structures, and community projects for the villages around Sambor Prei Kuk (which, like Angkor, involved some residents living amid the temples). A case study from Sambor Prei Kuk’s management involved how authorities worked with local communities on handicraft development – locals, especially women, were trained to make souvenirs inspired by Sambor Prei Kuk’s art (like woven mats with temple motifs), creating income while raising awareness of the site. Another on-site experience was a joint Cambodian-Japanese project to install simple protective shelters over some of the most weathered temples at Sambor Prei Kuk as a temporary measure, learning from Angkor’s experiences that interim measures can buy time until full restorations are done. The challenges faced at Sambor Prei Kuk (such as its softer brick material deteriorating faster than Angkor’s stone, and less tourism to generate revenue) were discussed. This comparative case study served to remind the ICC that Angkor’s model can be extended but must be tailored to site-specific conditions. It was suggested that some successful approaches at Angkor – like the structure of ICC technical sessions, or community tourism initiatives – are being replicated for Sambor Prei Kuk. Thus, sharing experiences between the two sites is mutually beneficial; the ICC essentially has a new laboratory at Sambor Prei Kuk to apply its collective knowledge.
Overall, these case studies and on-site experiences injected **practical knowledge** into the conference. They demonstrated where policies had succeeded or needed adjustment. For example, the relocation case showed a need for more community dialogue (leading to that recommendation), the restoration case studies like Baphuon validated the ICC’s methods and long-term commitment, and the technology applications offered blueprints for tackling environmental issues. They also provided inspiration – seeing a once-crumbled temple fully standing today thanks to international teamwork is a powerful motivator to continue the effort.
From an academic perspective, these cases exemplify key concepts in heritage management: **anastylosis** (Baphuon), **community archaeology** (relocations and community crafts), **preventive conservation** (groundwater management), and **capacity building in action** (training programs). In a lecture setting, each could be a mini-case for students to analyze how theory meets practice. The Angkor conference effectively functioned as a knowledge-exchange forum, much like an academic symposium, where each participant could learn from the successes and setbacks of others. By documenting and discussing these experiences, the conference ensured that institutional memory is built – so that, for instance, mistakes like inadequate record-keeping (as happened pre-1970s at Baphuon) are not repeated, or positive experiences like the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at Bayon become standard practice.
In conclusion, the shared case studies at the conference not only celebrated the collective accomplishments at Angkor but also critically examined them for lessons. This culture of sharing and learning is one of ICC-Angkor’s strengths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The%20following%20observation%20by%20Dr,concerning%20cultural%20heritage%20conservation%20and))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a,New%20Zealand%20all%20have%20national)). It has turned Angkor into a “school” of heritage conservation for the worl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ensured that this school continues to educate its newest students (like those working on Sambor Prei Kuk or other emerging heritage sites) and that the wisdom gained over 30 years is passed on to inform the next generation of projects and policies.
## Identified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While marking three decades of significant progress, the conference also put a spotlight on the **outstanding challenges** that Angkor (and Sambor Prei Kuk) face today and anticipated issues on the horizon. By openly discussing these challenges, the participants could better formulate forward-looking strategies. The dialogue essentially balanced a realistic appraisal of problems with an optimistic commitment to solutions – outlining **future directions** and priorities for the coming decade. The key challenges identified and the corresponding future-oriented directiv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Stress:** Perhaps the most urgent new challenge discussed wa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ngkor’s preservation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She%20warned%20that%20Angkor%20currently,serious%20natural%20and%20societal%20imbalances)). Over 30 years, Angkor has overcome threats like war and looting, but climate-induced threats are a growing concern. The conference noted evidence of changing weather patterns – more erratic monsoon rains, stronger storms, and higher temperatures – which could accelerate the deterioration of the temples and the site’s ecology. **Minister Sackona’s warning** that climate change may cause “serious natural and societal imbalances” set the tone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She%20warned%20that%20Angkor%20currently,serious%20natural%20and%20societal%20imbalances)). The specific challenges include: increased rainfall intensity leading to flooding around foundations, erosion of temple mounds and causeways, and water damage to fragile carvings; conversely, drought periods causing ground shrinkage and instability for heavy stone structures; biological growth (moss, lichen, invasive plants) potentially spreading more with humidity and affecting temple stone; and the risk of forest fires in hotter dry seasons. These concerns were underscored by APSARA Authority citing recent incidents – e.g., a severe storm in 2022 that knocked down trees and damaged parts of Ta Prohm temple. In response, the **future direction** is a comprehensive climate adaptation approach. The conference concluded that heritage managers must collaborate with climate scientists to model future scenarios and devise protective measures. **One future direction** is to improve Angkor’s natural resilience: for instance, by rehabilitating the ancient water management system (clearing historical canals and dikes) so that the landscape can better absorb and regulate water, reducing flood risk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We%20must%20do%20our%20best,past%2030%20years%2C%E2%80%9D%20she%20said)). Planting drought-resistant native tree species to maintain forest cover and shade was another idea, since the forest helps buffer the micro-climate around the ruins. Installing lightning rods or storm shelters to protect delicate structures could be considered. Additionally, it was suggested to systematically document baseline conditions now (through photographs, 3D scans, etc.) to track the impact of climate changes over time. **Climate action** was framed not as an isolated environmental issue but integral to the site’s sustainable management. The conference aligned this with broader UNESCO initiatives (like linking World Heritage and climate resilience) and Cambodia’s national climate policies. In academic terms, Angkor is poised to become a case study for **climate adaptation in cultural heritage**, and the next decade will likely see pilot projects (monitoring systems, green infrastructure) implemented as future-looking measures.
- **Tourism Pressure and Sustainable Visitor Management:** Angkor has been one of the world’s most visited archaeological sites (pre-COVID it saw up to 2.6 million international tourists in 2018). **Unmanaged tourism** was identified as a dual challenge: it can physically strain the monuments and also disrupt local life. The conference recognized that as global travel recovers post-pandemic, visitor numbers will rise again, potentially exceeding previous levels. Challenges cited include: congestion at popular temples (Angkor Wat sunrise crowding, for example), wear on stone steps and floors from millions of footsteps, pressure to build tourist facilities that might encroach on heritage zones, and the commodification of cultural practices. There’s also a social challenge – ensuring tourism benefits local people sufficiently (jobs, income) to justify the inconveniences it brings. The **future direction** agreed upon is to pursue **sustainable tourism management** rigorously. UNESCO’s Azoulay emphasized maintaining a balance and called for “rigorous management” of tourist flow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Azoulay%20welcomed%20the%20King%E2%80%99s%20human,temples%20and%20other%20heritage%20sites)). In practice, the next decade will likely see: expansion of regulated circuits (tour paths) through Angkor to distribute visitors more evenly; possibly caps or timed entry for extremely popular spots; improved signage and interpretation to educate tourists on behaving respectfully (to minimize damage like touching or climbing on fragile areas); and strengthening of heritage tourism policies that align with carrying capacity studies. Another future strategy is diversifying attractions – encouraging visits to less-frequented temples or other cultural sites (as mentioned, linking tours to Sambor Prei Kuk or community experiences) to reduce the concentration at Angkor’s main complexes. The challenge of tourism is closely tied to revenue: ticket sales from Angkor fund much of APSARA’s work and local economy. The pandemic showed the vulnerability of over-reliance on tourism. Thus, future directions involve making tourism more **resilient and equitable**. Community-based tourism, where local villagers offer homestays or guided walks, was pointed out as a way to both empower communities and enrich the tourist experience, taking pressure off the main temples. On the infrastructure side, continuing to develop Siem Reap city as a sustainable tourist city (efficient public transport to the site, environmentally friendly hotels, etc.) was seen as vital. The conference attendees widely agreed that tourism at Angkor should not return to the uncontrolled growth of the 2010s; instead, it should follow a model where heritage preservation dictates tourism practice, not vice versa. This will be a delicate balancing act, making it a key focus of the ICC’s work ahead.
- **Urbanization and Land-Use Pressure:** Hand-in-hand with tourism growth comes **urban development** in the Angkor region. Siem Reap, once a small town, has grown into a city with expanding suburbs nearing the Angkor Park boundary. Unchecked, this can lead to habitat loss, visual intrusions, and even pollution affecting the site. The conference identified **urban and population expansion** around Angkor as a significant pressure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environmental%2C%20economic%20and%20social%20demands)). In particular, demand for land, housing, and services for a growing population (locals and migrant workers drawn by the tourism economy) has led to instances of **encroachment** – settlements and businesses appearing in zones that by law should be protected. For example, the proliferation of guesthouses or restaurants near temple areas, if not regulated, can spoil the landscape and overload sewage systems (polluting water that might flow into moats or groundwater). Moreover, infrastructure projects like roads or power lines, if poorly planned, could cut through archaeological areas. Recognizing these threats, the conference’s future-oriented directives stressed **integrated regional planning**. Cambodia’s government was encouraged to fully implement the updated Siem Reap City master plan and Angkor Park zoning plan that were developed with international input. These plans designate strict zones (core zone where no development is allowed, buffer zones with limited activities, etc.). The challenge is enforcement – thus a future direction is enhancing the coordination between the APSARA Authority and other agencies (provincial authorities, tourism ministry, etc.) so that any development project undergoes a heritage impact assessment. The ongoing relocation of residents out of the core zone (the case we discussed) is part of addressing this challenge. Another future direction is creating alternative economic zones or satellite development areas (like Run Ta Ek, or new market areas in Siem Reap) to draw businesses and residents out of heritage-sensitive zones. In essence, **directing growth away from Angkor** while still allowing the region to prosper is the aim. The participants also cited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ngkor’s visual integrity – e.g., ensuring building height limits remain in place (so no skyscrapers are visible above the tree line) and that lighting at night doesn’t disturb the dark sky around the temples. This challenge of urbanization is a common one for many World Heritage sites, and Angkor’s future plan can set an example. The conference resolved that **heritage must be a central consideration in all local development policies** – a stance in line with UNESCO’s Historic Urban Landscape approach. Over the next decade, monitoring indicators like land-use change, population within zones, and enforcement actions will be important to gauge success in this area.
- **Community Livelihood and Social Inclusion:** While earlier sections dealt with relocation, a broader ongoing challenge is how to ensure that the thousands of people living in and around Angkor are partners in preservation and **do not face undue burdens** because of it. As noted, there have been criticisms (e.g., by Amnesty International) about “forced evictions” of some 10,000 people from Angkor ([UNESCO – Page 2 – Southeast Asian Archaeology](https://www.southeastasianarchaeology.com/tag/unesco/page/2/#:~:text=Amnesty%3A%20UNESCO%20Has%20Failed%20to,Forced%20Evictions%20at%20Angkor%20Wat)). This indicates a challenge in balancing conservation with human rights and poverty alleviation. The conference acknowledged that historically, heritage protection was at times pursued in a top-down way that alienated locals – a critique being addressed now. The **challenge** is to avoid any sense that Angkor is preserved “at the expense” of local residents’ well-being. Many of those living in Angkor park are poor, reliant on subsistence farming or selling souvenirs to tourists. The crackdown on illegal settlements, while important for site integrity, has cut off some families from livelihoods. The **future direction** here is strongly towards **inclusive and community-centered approaches**. The recommendations (as earlier mentioned) include involving community voices in decisions. Also, development projects specifically targeting these communities are planned: e.g., skill development (training people from Angkor villages in new trades, including jobs in heritage conservation itself like becoming gardeners, site guards, or craftspeople employed by APSARA). Providing improved services – schools, clinics, clean water – to communities whether they live just outside the park or in relocation sites is another direction, aligning with Cambodia’s social development goals. The idea is that communities should see concrete benefits from Angkor’s World Heritage status, which in turn will foster their support for protective measures. By the next conference, success would mean no reports of forced evictions because issues are solved via dialogue and planning; instead we’d see thriving cultural villages around Angkor where locals actively participate in cultural tourism (for example,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s or homestays) as part of the heritage experience. Community co-management of some aspects (like upkeep of smaller temples or enforcement of park rules) could be piloted, giving residents stewardship roles. In sum, the challenge of community integration is being met with the future direction of **empowerment and benefit-sharing** – making local people true stakeholders in safeguarding Angkor’s legacy. As Ambassador Pellet stated, “local communities should be fully involved... it will be possible to resolve concerns about resettlement” in this new decade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Sustainable%20development%20means%20local%20communities,they%20are%20taking%2C%E2%80%9D%20he%20said))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E2%80%9CSustainable%20development%20means%20local%20communities,they%20are%20taking%2C%E2%80%9D%20he%20said)).
- **Maintaining International Support and Coordination:** A subtle but real challenge identified was ensuring the continued **commitment of international partners** and effective coordination as the ICC enters its fourth decade. After 30 years, some might assume Angkor “does not need help anymore” since it’s no longer on the Danger List and Cambodia’s capacities have grown. However, the conference clearly noted that **international cooperation must continue** until Cambodia is fully autonomous in heritage management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teams%20working%20on%20the%20ground,The)). The challenge is to keep donors and experts engaged in a world where there are many competing heritage and development needs globally. Additionally, generational turnover means many original experts who started in the 1990s are retiring; bringing in new blood with the same dedication is a task. The conference’s future direction to tackle this is to **demonstrate new relevance and mutual benefit**. One strategy is to broaden the scope of ICC-Angkor to share its model with other sites (like Preah Vihear, where an ICC was emulated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This%20long,to%20preserve%20world%20heritages%2C%20for))) – this keeps the mission dynamic and draws in perhaps new partners. Another is to integrate contemporary agendas (like climate action, digital technology) that attract interest and funding. For example, partners like South Korea or Australia might be more interested in funding a high-tech digital project at Angkor now, even if they were not part of the original ICC, because it aligns with their priorities. Internally, the ICC decided to streamline coordination, possibly by merging some meetings for Angkor and Sambor Prei Kuk or enhancing the role of its secretariat. Maintaining strong coordination also involves managing the wealth of documentation (reports from biannual ICC meetings, recommendations follow-up). The future direction includes modernizing ICC operations – perhaps creating an online platform for ICC members to update on project progress in real-time, or rotating some technical workshops hosted by different member states to sustain enthusiasm. The Cambodian government’s role is to continue showing strong leadership and transparency so that donors trust that their contributions are used effectively. Given Cambodia’s new government in 2023 under Prime Minister Hun Manet, the ICC partners will watch how cultural heritage remains prioritized in n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the King noted the PM’s prioritization of education/training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King%20also%20lauded%20the,creation%20of%20new%20training%20programmes)), which is a positive sign for heritage capacity building). The challenge of keeping everyone on board is met by the future direction of **refreshing the partnerships** – reaffirming why Angkor still matters globally (not just historically, but as a symbol of peace, as an outdoor laboratory for conservation, and as the heart of Cambodia’s identity). The outcome of the conference – renewing ICC for 10 years – itself was a step to secure this continuity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climate%20change)).
- **Preservation of Intangible and Living Heritage:** Although much focus is on the tangible site, a challenge noted was to ensure the **living heritage** connected to Angkor isn’t lost. This includes rituals, traditional knowledge, and the cultural practices of communities (like the use of Angkor’s temples for religious ceremonies). As modernity and tourism surge, such intangible heritage can be under threat. The King’s mention of focusing on **intangible heritage inscriptions** and ancestral crafts training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http://m.en.freshnewsasia.com/index.php/en/localnews/42821-2023-11-19-03-25-02.html#:~:text=,19)) touches on this challenge. The future direction is a more holistic approach linking Angkor’s physical conservation with Cambodia’s broader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For example, supporting the practice of traditional music and dance in Angkor’s villages, or documenting oral histories of Angkor from elder villagers. The inclusion of these aspects in education and tourism (like performances of Apsara dance at Angkor, which i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lement inscribed by UNESCO) ensures that Angkor remains a living site, not an abandoned ruin. This direction helps reinforce cultural continuity – making young Cambodians feel connected to Angkor not just as an ancient place but as part of their living culture. It also dovetails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as preservation of crafts (like stone carving, bronze casting, etc.) can create jobs and maintain cultural identity.
In outlining **future directions**, the conference consistently aligned them with both Cambodia’s national priorities and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a unifying theme – meaning that heritage conservation goals should advanc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well-being, not hinder them. The challenges identified are complex, but the mood of the meeting was solution-oriented. Many participants expressed confidence that just as Angkor overcame dire threats in the 1990s with global help, it can overcome the new generation of challenges through innovation and collaboration.
For instance, the acknowledgement of climate threat comes with a proactive mindset that Angkor could become a showcase for climate-adaptive conservation techniques, thereby contributing knowledge to the world (turning a challenge into an opportunity). Similarly, the difficulties with community resettlement are pushing the ICC to evolve a more inclusive model that might serve as an example for other World Heritage sites balancing people and preservation.
The **future directions** can thus be summarized in a few keywords: *inclusive*, *sustainable*, *innovative*, and *collaborative*. Each challenge – whether environmental, social or managerial – is addressed by strategies that embrace those principles. The involvement of diverse stakeholders (local communities, scientists, policymakers) in finding solutions is a marked change from the earlier decades where solutions were often expert-driven only.
To track progress on these directions, the conference recommended periodic reviews. It’s expected that by the next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perhaps in 5 or 10 years), they will evaluate how well these strategies have been implemented – e.g., Has tourist management improved visitor experiences and reduced damage? Have community relations improved and no new conflicts arisen? Is Angkor’s environment healthier or at least stable in the face of climate stress? The success of the future directions will depend on political will, funding, and continuous learning. Given the strong foundation of the past 30 years, the assembled stakeholders were optimistic that Angkor can remain a **thriving World Heritage site that is conserved not in isolation, but in harmony with its environment and its people**. This vision is the guiding star for all actions moving forward.
## Emphasis o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utcomes in Angkor’s Heritage Pre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 major theme that underpinned the entire conference was the crucial role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 the financial and technical aid provided by foreign governments and international agencies – in the story of Angkor’s preservation. Over the past three decades, Angkor has arguably become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s of ODA contributing to heritage conservation and, by extension, to local and national development. The conference frequently highlighted specific outcomes achieved through ODA, using data and examples to demonstrate how international support has been effectively translated into on-the-ground results for Angkor’s benefit and Cambodia’s sustainable development. Below, we summarize the key ODA outcomes discussed:
-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Projects Financed by ODA:** International aid has directly enabled the **restoration of numerous temples and structures at Angkor**, rescuing them from ruin and making them accessible and safe for future generations. For instance, France (through agencies like EFEO and AFD) and Japan (through JICA and JSA) have been principal donors for major projects like the restoration of **Baphuon** and **Bayon** temples, respectively. As noted, France’s support since 1993 led to the full restoration of Baphuon by 2011 and is now supporting the Western Mebon project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embassy%20said%20that%20since,the%20development%20of%20archaeological%20research)). Japan’s long-term commitment through JSA stabilized and restored significant portions of Bayon and Angkor Wat. Other countries contributed as well: **China** restored Chau Say Tevoda and the Takeo temple; **Italy** worked on the Terrace of the Elephants; **Germany** helped with Preah Khan temple conservation; **India** restored Ta Prohm (ongoing) and parts of Angkor Wat; **United States (through the WMF)** worked on Preah Khan and other sites; **Indonesia** and **Hungary** have also partaken in smaller projects. The cumulative outcome is that **over 100 conservation projects were completed in the first 10 years alone with international assistance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With%20international%20assistance%2C%20Cambodia%20has,of%2080%2C000%20other%20explosive%20devices))**, and many more since. Thanks to these, iconic monuments that were once at risk of collapse have been reinforced. ODA provided not just funding for materials and labor, but also the transfer of technical know-how. The result is visible in the landscape of Angkor today: nearly every major temple has benefited from an international project, often commemorated with plaques crediting the countries. The removal of Angkor from the Danger List in 2004 was explicitly linked to these international investments (about **$50 million USD in the 1993–2004 period** as per UNESCO’s assessment)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According%20to%20UNESCO%2C%20the%20last,government%20and%20UNESCO%27s%20own%20coordination)). This statistic was proudly cited at the conference because it quantified the impact of ODA – essentially, global taxpayers’ money was put to use safeguarding a world treasure, and it succeeded. The conference also pointed out how these restoration outcomes feed into sustainable development: restored temples enable cultural tourism (a pillar of the local economy), and they help foster national pride and identity which is an intangible yet important aspect of development.
- **Demining and Site Security – Humanitarian ODA Outcomes:** One often overlooked but foundational ODA contribution was the **clearing of landmines and unexploded ordnance** from the Angkor area in the 1990s. In the early 90s, large parts of the park were unsafe due to mines laid during decades of conflict. With funding and expertise from countries like Japan and Australia, demining teams (including the Cambodia Mine Action Centre, CMAC) systematically cleared the park. According to reports shared at the conference, more than **25,000 anti-personnel mines** and **80,000 explosive devices** were removed in the 1990s as part of making Angkor safe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With%20international%20assistance%2C%20Cambodia%20has,of%2080%2C000%20other%20explosive%20devices)). This Herculean task, supported by ODA (since Cambodia alone lacked resources for it at the time), literally paved the way for everything else – it allowed restoration work to proceed and opened the site for tourism, which has since brought economic growth. The success in mine clearance is both a heritage outcome and a humanitarian one, preventing potential injury or death and freeing the land for productive use. ODA also helped establish the **Heritage Police Unit**, a special local police force trained (with French support) to guard the site and prevent looting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devices)). This unit, along with stricter laws (also formed with UNESCO advice), dramatically reduced artifact pillaging – an outcome referenced by UNESCO noting that cultural pillaging had been “largely ended” by the early 2000s due to these efforts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devices)). The conference cited this as an example of how international cooperation bolstered rule of law and security in Cambodia, a broader development benefit.
- **Capacity Building and Institution Strengthening:** One of ODA’s most lasting impacts at Angkor is the **strengthening of Cambodian institutions and human resources** dedicated to heritage. Starting from almost zero (as of 1993, Cambodia had very few trained conservators or archaeologists due to the decimation of the educated class during the Khmer Rouge period), today Cambodia boasts a large cohort of heritage professionals, many of whom were the beneficiaries of international training programs. **Dr. Hang Peou’s comment** was emblematic: the ICC “strategically assists the APSARA National Authority to gain more from support by coordinating activities and sharing lessons… [this] supported the capacity development (theoretical and practical) of many Cambodian staff.”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According%20to%20Dr,scholars%20has%20also%20observed%20that)). This capacity development took many forms: formal scholarships (e.g., to study architecture or anthropology abroad), on-the-job training on international projects (each foreign team was typically required to include and mentor Cambodian counterparts), and the establishment of local training centers. APSARA Authority itself was created and built up with guidance from foreign advisors provided by UNESCO and donors. For example, France and Japan both seconded experts to advise APSARA in its early years. As a result, APSARA Authority grew into a robust organization capable of handling complex issues. The conference noted that **APSARA’s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strengthened by the ICC’s presence**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Cambodian%20staff,decades%2C%20described%20the%20%E2%80%98essence%E2%80%99%20of)). The outcome of all this ODA in training is measurable: where in 1993 Cambodia had maybe a handful of architects with heritage experience, now APSARA and the Ministry of Culture have hundreds of experts – architects, engineers, archaeologists, tourism managers, etc., many trained via ICC project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embassy%20said%20that%20since,the%20development%20of%20archaeological%20research)). One specific program often lauded is the **APSARA Stone Conservation unit** set up with German support in the 2000s, which has conserved countless sculptures and trained local conservators who now even lend expertise to other countries. Another is the **Capacity Building for APSARA** project funded by Japan in the 2000s that trained dozens of staff in GIS, database management, and planning (leading to better site inventories and maps). These capacity outcomes mean that increasingly Cambodians lead the projects. ODA has thus succeeded in its intended exit strategy: building local capacity so that reliance on foreign aid can eventually taper. While the ICC still notes that international help is needed until full autonomy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teams%20working%20on%20the%20ground,The)), the shift in roles is evident. This human capital development also contributes to Cambodia’s broader development; many who trained at Angkor have gone on to work on other heritage or urban planning projects across Cambodia, spreading the expertise.
- **Economic Development and Poverty Reduction through Heritage (Tourism and Jobs):** A critical sustainable development outcome of ODA at Angkor is the stimulation of the local and national economy, particularly via tourism. By restoring Angkor and promoting it internationally (with UNESCO’s branding and donor-funded tourism infrastructure), Cambodia was able to develop Siem Reap from a war-torn region into a thriving tourist destination. The conference acknowledged that **international cooperation brought not just conservation but also global attention and visitors**, raising income for Cambodia. The numbers are telling: from near zero tourism in the early 90s (due to conflict), Angkor generated tens of millions of dollars in ticket revenues per year by the 2010s and supported over 50,000 jobs in Siem Reap (in hotels, transport, guiding, handicrafts, etc.). ODA contributed to this by funding key infrastructure – for example, **Japan’s grant aid to expand Siem Reap’s water supply** was explicitly tied to the expected influx of tourists and the need to protect Angkor’s water table ([[PDF] Siem Reap Water Supply Expansion Project (Phase 2) - JICA](https://www2.jica.go.jp/en/evaluation/pdf/2021_CP-P26_1_s.pdf#:~:text=,from%20beneath%20the%20ruins)) ([政府説明資料](https://www2.jica.go.jp/en/evaluation/pdf/2021_CP-P26_1_s.pdf#:~:text=,industries%20such%20as%20tourism%3B%20and)). They built water treatment plants and pipelines (completed in 2006 and ongoing expansions) that provide clean water to the city, thereby also protecting Angkor from excessive groundwater extraction. Similarly, countries like South Korea provided aid to improve roads and the airport in Siem Reap, facilitating tourism growth. These development projects were often justified in donor discussions by citing heritage preservation benefits (like the water example) or cultural soft power gains, but they have clear economic outcomes: the local population now has better infrastructure and access to services than they would have without Angkor’s draw. The trickle-down of tourism money has had poverty-alleviation effects in the region, albeit uneven. The conference, while celebrating this, also recognized the need to make those economic benefits more equitable (hence future plans to engage communities more directly). Nonetheless, ODA was catalytic in transforming Siem Reap’s economy – a classic case of culture driving development.
- **Cultural Exchange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Beyond material outcomes, the investment of dozens of countries in Angkor produced intangible but significant outcomes in terms of international goodwill and cultural diplomacy. The conference often referenced Angkor as a **“exemplary international cooperation mechanism”**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Cambodian%20experts%2C%20I%20can%20say,point%20for%20international%20cooperation%20on)). Over 30 years, hundreds of foreign experts have lived and worked in Siem Reap, and vice versa, many Cambodians traveled abroad for training. This created a vast network of personal and institutional relationships. One could argue this is an outcome of ODA: improved international relations. For example, Japan and France’s joint stewardship of Angkor has been a cornerstone of their cultural diplomacy in Southeast Asia. It also set a precedent for them co-chairing other efforts (they later co-chaired the ICC for Hue, Vietnam, for instance). Countries like China and the US, despite political differences, both contribute to Angkor, finding common ground in heritage. This spirit of shared responsibility for world heritage is a valuable outcome at a time when global cooperation is often strained. The Cambodian public, too, has gained a greater appreciation for their heritage partly due to the international recognition and the successful results of these projects – fostering national unity and pride, which is a social development outcome that’s hard to measure but palpable.
- **Heritage as a Pillar of Sustainable Development:** A core message of the conference was that Angkor demonstrates how heritage conservation can drive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is a major paradigm in international ODA today (reflected in UNESCO’s Culture|2030 Indicators and the UN’s 2030 Agenda). At Angkor, ODA has funded projects that explicitly tie into development goals. For instance, the JICA water project for Siem Reap addressed SDG 6 (clean water and sanitation) *and* SDG 11 (sustainable cities, since it protected cultural heritage), an excellent example of integrated outcomes ([政府説明資料](https://www2.jica.go.jp/en/evaluation/pdf/2021_CP-P26_1_s.pdf#:~:text=,industries%20such%20as%20tourism%3B%20and)). Likewise, programs training local youth in traditional crafts contribute to SDG 8 (decent work) and SDG 4 (quality education), while also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e. The conference highlighted such linkages, effectively making the case to donor agencies that funding heritage at Angkor yields multi-dimensional returns. The Run Ta Ek resettlement, though funded by the Cambodian government primarily, also had input from donor-funded studies and will likely attract development aid for its expansion (since it deals with hous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linking to SDG 1 no poverty, SDG 11, etc.). By emphasizing these outcomes, the conference reinforced to all participants (especially finance and planning ministries of governments) that money put into Angkor is not a luxury expense for a pretty monument – it’s an investment in people, environment, and knowledge. The narrative of Angkor’s ODA outcomes is a compelling one: a post-conflict society used culture as an engine for recovery and growth, with international solidarity enabling it. The site went from danger to flourishing, and the local economy was uplifted in tandem. This is why Cambodia continues to advocate for ODA in heritage, including Angkor but also beyond (the King’s mention of preparing other heritage for future inscription suggests Cambodia will seek similar support for other sites).
- **Data on ODA Contributions:** The conference record included sharing of data like the number of countries involved (over 30 countries have contributed to ICC-Angkor at various points), the total financial contributions (difficult to sum precisely, but certainly several hundred million USD over 30 years if one includes all infrastructure and soft aid in Siem Reap, not just direct conservation), and the quantitative achievements. Some notable data points mentioned: *Over 300 Cambodian professionals* trained to international standards; *over 70 temples and structures* substantially restored; *two major new museums and visitor centers* established with foreign aid (the Angkor National Museum by a private foreign investor, and a planned new museum with Japanese aid); *improvement of livelihoods* for communities, e.g., through creation of over *4000 jobs* in heritage management and tourism that did not exist prior. These figures illustrate the scale of ODA’s impact. One striking data from UNESCO earlier was that in the first decade, due to those efforts, “most of Angkor’s serious problems [were] solved”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According%20to%20UNESCO%2C%20the%20last,government%20and%20UNESCO%27s%20own%20coordination)) – a strong endorsement of how effectively ODA was utilized.
During the conference, Cambodia expressed its gratitude for these outcomes. King Sihamoni’s speech and others often listed the countries by name in thank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In%20his%20keynote%20address%20in,model%20of%20effective%20multilateral%20cooperation)), emphasizing how each played a part in the Angkor success story. The Cambodian side also reaffirmed its commitment to ensuring ODA funds are used responsibly and outcomes sustained. For instance, they pointed out how they have increased national budget allocation to heritage in recent years, gradually taking over funding of routine maintenance so that ODA can be focused on special projects. This is a maturation that donors appreciate – it shows that their support built a foundation that the country is now leveraging on its own.
In conclusion, the conference’s examination of ODA outcomes at Angkor painted a very positive picture: it validated the past 30 years of international aid as highly successful. Angkor’s case serves as a model that can be presented in international forums to argue for the power of culture in development. The explicit **emphasis on ODA outcomes** in the discussions was likely aimed at both celebrating the donors’ contributions and encouraging them to continue or increase support by showcasing the tangible returns on their investment. It also educates new ICC members or observers about what has been achieved so far and how future aid should be oriented (e.g. now more towards capacity building, climate adaptation, etc., rather than emergency rescue).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heritage and development at Angkor – often summarized with phrases like *“conserving Angkor has contributed to peace and prosperity”* – stands as a testament to the idea that protecting culture is not a drain on resources but a driving force for human-centered development.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reinforced this message, ensuring that Angkor remains not just a monument of the past, but a beacon for how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ODA can create a sustainable future by honoring and leveraging cultural heritage.
**Sources:**
1. UNESCO (2023).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Event Announcement*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Angkor%20is%20one%20of%20the,Angkor%29%20was))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https://www.unesco.org/en/articles/4th-intergovernmental-conference-safeguarding-and-development-angkor#:~:text=,environmental%2C%20economic%20and%20social%20demands)). UNESCO Headquarters, Paris.
2. Phnom Penh Post (20 Nov 2023).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King%20outlined%20several%20main,Angkor%20and%20combat%20climate%20change))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Azoulay%20welcomed%20the%20King%E2%80%99s%20human,temples%20and%20other%20heritage%20site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She%20warned%20that%20Angkor%20currently,serious%20natural%20and%20societal%20imbalance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Director,Ek%20and%20Peak%20Sneng%20area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Jacques%20Pellet%2C%20ambassador%20of%20France%2C,human%20capital%20and%20sustainable%20development)). Quotes from King Norodom Sihamoni, UNESCO DG Audrey Azoulay, Minister P. Sackona, APSARA DG Hang Peou, Ambassadors of Japan and France.
3. Fresh News Asia (19 Nov 2023).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 ([Cambodia's King Attended the Four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Angkor](http://m.en.freshnewsasia.com/index.php/en/localnews/42821-2023-11-19-03-25-02.html#:~:text=,19)). Key points of King Sihamoni’s speech on policy priorities (education, anti-trafficking, climate, etc.).
4. Ministry of Foreign Affairs Cambodia – Press Release (17 Nov 2023). Outcomes of the King’s participation (via Cambodian People’s Party news)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The%20release%20said%20that%20during,Father%20Norodom%20Sihanouk)) ([ICC Angkor looks forward to challenges, future growth | Phnom Penh Post](https://www.phnompenhpost.com/national/icc-angkor-looks-forward-to-challenges-future-growth#:~:text=climate%20change)). Confirmation of ICC mandate renewal and cooperation requests.
5. Khmer Times (20 Nov 2023). *“ICC Angkor-Sambor Prei Kuk Conference focuses on local community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ICC Angkor-Sambo Prei Kuk Conference focuses on local community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 Open Development Cambodia (ODC)](https://opendevelopmentcambodia.net/en/news/icc-angkor-sambo-prei-kuk-conference-focuses-on-local-community-conservation-and-development/#:~:text=The%20Ministry%20of%20Culture%20and,%E2%80%A6)). Statement from Ministry of Culture on focusing on local community development as an outcome of the conference.
6. Taninai, I. (2024). *“ICC Angkor: 30 Years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 AVI International Cooperation Studies Review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According%20to%20Dr,scholars%20has%20also%20observed%20that))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cooperation%20on%20the%20conservation%20and,Due%20to%20the)) ([](https://asianvision.org/wp-content/uploads/2024/07/240705-AVI-Review-of-International-Cooperation-Studies-Issue-2024-No-01-TANINAI-Ichitomo.pdf#:~:text=the%20conservation%20and%20sustainable%20development,Angkor%2C%20and%20until%20the%20Cambodian)). Discusses ICC’s impact on capacity building and lists donor countries and essential nature of continued international support.
7. Ros Borath (2004). UNESCO Press Statement via RFA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According%20to%20UNESCO%2C%20the%20last,government%20and%20UNESCO%27s%20own%20coordination)) ([Cambodias Angkor Wat Off Unesco Danger List – Radio Free Asia](https://www.rfa.org/english/news/arts/140235-20040705.html#:~:text=With%20international%20assistance%2C%20Cambodia%20has,of%2080%2C000%20other%20explosive%20devices)). Notes $50 million investment, 100+ projects, mine clearance, and success of Angkor’s removal from Danger List as of 2004.
8. JICA (2021). *“Siem Reap Water Supply Expansion Project”* ([政府説明資料](https://www2.jica.go.jp/en/evaluation/pdf/2021_CP-P26_1_s.pdf#:~:text=,industries%20such%20as%20tourism%3B%20and)). Describes use of surface water to protect Angkor’s foundations and provide clean water, illustrating sustainable development synergy.
9. Amnesty International (2023). *“‘Nobody Wants to Leave Their Home’: Forced evictions at Angkor Wat”* (Referenced via media ([UNESCO – Page 2 – Southeast Asian Archaeology](https://www.southeastasianarchaeology.com/tag/unesco/page/2/#:~:text=Amnesty%3A%20UNESCO%20Has%20Failed%20to,Forced%20Evictions%20at%20Angkor%20Wat))). Highlights critiques of relocations, underscoring the importance of community-inclusive approaches as discussed at the conference.
채팅
앙코르 보존 및 발전을 위한 제4차 정부간 회의 요약
소스 1개
제공된 텍스트는 2023년 11월 유네스코 파리에서 개최된 앙코르 보존 및 개발을 위한 제4차 정부간 회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이 회의는 30년간의 국제 협력의 성과를 검토하고 향후 10년간의 전략적 비전을 설정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주요 논의 사항으로는 유산 보호와 성장의 균형, 과학 기술의 활용, 역량 강화 및 지식 이전이 강조되었으며, 기후 변화, 관광 압력, 도시화, 지역 사회 참여 등의 과제와 미래 방향이 제시되었습니다. 특히, 공적 개발 원조(ODA)의 중요한 역할과 그 성과가 앙코르 유적 보존 및 지속 가능한 발전에 미친 영향이 상세히 논의되었습니다.
메모에 저장
메모 추가 AI 음성 개요 마인드맵
하단으로 이동
소스 1개
제4차 앙코르 정부간 회의의 주요 목표와 의제는 무엇이었으며, 이전 회의와 어떻게 차별화되는가? 앙코르 유적 보호 및 개발에 있어 국제 협력의 지난 30년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현재 직면한 주요 과제를 논하시오. 앙코르 유적의 지속 가능한 보존과 지역 사회 발전을 위해 향후 10년간 추진해야 할 정책 방향과 우선순위는 무엇인가?
스튜디오
심층 분석 대화
호스트 2명(영어로만 지원)
맞춤설정
생성
노트
메모 추가
학습 가이드 브리핑 문서
FAQ 타임라인
한국 사회의 고령화 현상과 과제 앙코르 유적 보존 및 개발을 위한 제4차 정부간 회의 브리핑 문서 소개 본 문서는 2023년 11월 15일 유네스코 파리 본부에서 개최된 "앙코르 유적 보존 및 개발을 위한 제4차 정부간 회의"의 주요 주제, 중요 아이디어 및 사실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본 문서는 회의 배경 및 목표, 주요 발표 및 논의, 정책 권고 사항, 사례 연구, 과제, 그리고 앙코르 지역의 공적개발원조(ODA) 지원 사업의 역할과 성과에 특별한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1. 회의 배경 및 목표 캄보디아에 위치한 앙코르 고고학 공원은 9세기에서 15세기까지 크메르 제국의 수도 유적을 포함하는 동남아시아의 가장 중요한 문화유산 중 하나입니다. 1990년대 초, 약탈, 분쟁 및 악화로 인해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던 앙코르 유적의 세계적 중요성을 인식한 유네스코는 1992년 앙코르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고 동시에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올렸습니다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 앙코르 유적의 복구를 위한 국제적 지원을 동원하기 위해 캄보디아의 노로돔 시아누크 국왕의 주도로 1993년 10월 도쿄에서 제1차 앙코르 정부간 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 이 도쿄 회의에서 앙코르 유적 보존 및 개발 국제조정위원회(ICC-앙코르)가 설립되었으며, 프랑스와 일본이 공동 의장을 맡아 앙코르의 모든 보존 및 개발 노력을 조정하는 다자간 메커니즘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 이후 ICC-앙코르는 반기별로 회의를 개최하여 캄보디아 당국(특히 앙코르를 관리하는 압사라 국가청)과 수십 개의 국제 파트너가 프로젝트를 논의하고, 전문 지식을 공유하며,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여해 왔습니다. 프랑스, 일본, 중국, 인도, 독일, 이탈리아, 미국 등 주요 공여국들은 현장에서 활동하는 국가별 팀을 구성하여 앙코르 보존을 진정한 국제적 협력 사업으로 만들었습니다 (Asian Vision). 최초 도쿄 회의 이후, 진전을 평가하고 미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약 10년마다 고위급 정부간 회의가 개최되었습니다. 제2차 정부간 회의는 2003년 11월 파리에서 개최되어 10년간의 협력을 기념했으며, 제3차 회의는 ICC-앙코르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2013년 시엠레아프에서 캄보디아 총리의 주재와 프랑스 문화부 장관의 참석 하에 개최되었습니다. 각 회의는 앙코르 유적과 그 주변 환경 보호를 위한 권고 사항을 발표하고 약속을 재확인했습니다. 2004년, 집중적인 국제 보존 노력과 개선된 유적 관리를 통해 앙코르는 유네스코 위험 유산 목록에서 제외되는 획기적인 성과를 거두었으며, 이는 국제 문화유산 보존의 "성공 사례"로 환영받았습니다 (Radio Free Asia) (Radio Free Asia). 유네스코에 따르면, 첫 10년(1993-2004) 동안 국제적 지원을 통해 앙코르에서 100건 이상의 복원 및 개발 프로젝트가 수행되었으며, 5천만 달러의 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 (Radio Free Asia). 이 작업에는 25,000개 이상의 지뢰 및 불발탄 제거, 문화유산 경찰 및 목록 관리 시스템 구축, 그리고 만연했던 유물 약탈 행위의 근절이 포함되었습니다 (Radio Free Asia). 이러한 성과는 앙코르 보존을 위한 국제적 지원을 결집하는 데 ICC-앙코르 모델의 효과를 입증했습니다. 2023년 11월 15일 유네스코 파리 본부에서 개최된 제4차 앙코르 유적 보존 및 개발을 위한 정부간 회의는 ICC-앙코르 창설 30주년을 기념했습니다 (Indico.UN). 이 고위급 회의는 유네스코 총회와 동시에 개최되었으며, ICC 14개 회원국 대표, 유네스코 관계자, 전문가 및 캄보디아 지도자들이 참석했습니다. 특히 이번 4차 회의의 범위는 앙코르뿐만 아니라 2017년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어 최근 ICC의 조정 하에 들어온 또 다른 캄보디아 고고학 유적지인 삼보르 프레이 쿡까지 확대되었습니다 (Asian Vision). 삼보르 프레이 쿡의 포함은 앙코르 협력 모델을 캄보디아의 다른 문화유산에 적용하기 위한 ICC의 확대된 Mandate를 반영합니다. 회의의 총괄적인 목표는 국제 협력의 세 번째 10년(2013-2023) 동안 이루어진 진전을 평가하고 향후 10년을 위한 전략적 비전을 정의하는 것이었습니다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 특히 주최측은 다음 세 가지 우선 순위 주제를 논의 대상으로 설정했습니다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 성장 환경에서의 문화유산 보호: 앙코르 및 삼보르 프레이 쿡 세계유산의 진정성과 완전성을 주변 지역의 급격한 도시화 및 인구 증가 압력으로부터 보호하고, 환경적, 경제적 및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조치 강구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 이는 문화유산 보존과 개발 간의 지속 가능한 균형을 찾는 것을 의미하며, 유적 주변의 도시 확장, 인프라 구축 및 관광 산업 발전이 고대 기념물의 문화적 또는 생태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 보존 분야의 과학 기술 발전: 앙코르/삼보르 프레이 쿡의 문화유산 보존을 위한 현대 과학 기술 활용 평가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 30년 동안 앙코르의 보존 관행은 긴급 안정화에서 정교한 복원으로 발전했습니다. 회의에서는 디지털 문서화(예: 사원의 3D 레이저 스캐닝), 구조 공학 분석, 원격 감지(예: LiDAR 및 위성 이미지) 및 기타 과학 혁신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검토했습니다. 기념물 안정성, 환경 관리(예: 수계 모델링 또는 기후 영향 평가) 및 보존 방법의 전반적인 효율성과 정확성 향상에 기술이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역량 강화 및 지식 이전: 캄보디아 국가 당국, 주로 압사라 국가청(앙코르)과 삼보르 프레이 쿡 국가청의 관리 역량 및 인적 자원 강화를 통해 전문 지식이 지속적으로 이전되고 현지 팀이 궁극적으로 유적 관리의 주인이 될 수 있도록 보장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 이는 ICC의 장기적인 목표, 즉 외국 전문가의 과도한 개입에서 벗어나 캄보디아 전문가들이 자국의 문화유산 보존 및 지속 가능한 개발을 주도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30년 동안 수백 명의 캄보디아 고고학자, 건축가, 엔지니어, 보존 전문가 및 노동자들이 ICC 조정 프로젝트를 통해 교육을 받았습니다 (Phnom Penh Post). 2023년 회의는 역량 강화에 남아있는 격차를 파악하고 향후 교육, 훈련 및 제도적 지원을 통해 이를 해결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요약하자면, 회의의 배경은 앙코르를 위한 30년간의 국제적 연대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회의는 1993년 이후 구조에서 복원, 지속 가능한 문화유산 관리 모델로 이어진 놀라운 발전을 기념하는 동시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과제(대량 관광, 기후 변화, 지역 사회 요구 등)를 인정했습니다. 따라서 목표는 과거의 교훈과 성공 사례에 대한 회고적 평가와 앙코르 및 삼보르 프레이 쿡이 향후 10년 동안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보호되도록 하기 위한 미래 지향적 계획이라는 두 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전 세계적인 변화와 캄보디아의 진화하는 개발 환경을 고려하여 정책 및 우선 순위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포함했습니다.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을 비롯한 캄보디아 지도부는 캄보디아의 문화유산과 국민의 이익을 위해 유네스코 및 파트너와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번 회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데 깊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2. 주요 발표 및 논의 주제 회의에서는 캄보디아 고위 인사와 유네스코 관계자의 기조 연설과 주요 파트너 국가 대표들의 주제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연설과 논의는 30년간의 성과 축하, 현재 문제(지역 사회 생계에서 기후 위협까지) 인정, 미래 전략 구상 등 여러 상호 관련된 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다음은 주요 발표 및 대화 주제의 하이라이트입니다. 왕실 기조연설 - 캄보디아의 비전과 우선순위: 캄보디아의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이 참석하여 회의를 빛냈으며, 이는 국가적 차원의 최고위급의 헌신을 반영합니다. 시하모니 국왕은 개회 기조연설에서 유네스코와 국제 사회의 "과거 긴밀한 협력"과 ICC-앙코르 메커니즘의 30년간의 앙코르 보존 성공에 깊은 감사를 표했습니다 (Phnom Penh Post). 그는 1993년 이 정부간 노력을 시작한 부친 노로돔 시아누크 선왕의 유산을 기렸습니다 (Phnom Penh Post). 이어서 국왕은 새로운 시대의 문화유산에 대한 캄보디아 정부 정책의 여러 주요 사항을 제시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최우선 과제는 보존에 필수적인 전통 기술 및 조상 전래 공예 분야의 교육 및 인적 자원 개발에 중점을 두는 것이었습니다 (예: 석조 조각, 목공예, 보존 과학). 캄보디아 국민의 이러한 기술 강화는 보존 노력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합니다 (Fresh News Asia). 다음으로 그는 문화재 불법 거래와의 싸움을 국가적 우선 순위로 강조했습니다 (Fresh News Asia). 유적 보안이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크메르 유물의 불법 거래(약탈된 유물과 불법 판매 모두)는 여전히 우려 사항입니다. 캄보디아는 도난당한 문화유산 회수 및 추가 손실 방지를 위한 국제적 지원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국왕은 또한 캄보디아 문화유산의 미래 유네스코 등재 준비에 대해서도 언급했습니다 (Fresh News Asia) – 이는 캄보디아가 앙코르, 프레아 비히어, 삼보르 프레이 쿡 및 왕립 발레와 같은 예술 형식의 성공을 바탕으로 더 많은 문화 및 무형 유산을 세계유산 또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할 의향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그는 앙코르 및 기타 문화유산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강력한 법적 틀 구축을 강조했습니다 (Fresh News Asia), 이는 문화유산을 파괴, 불법 건축 및 기후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국가 법률 및 규정을 포함합니다. 또한 시하모니 국왕은 문화유산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변화와의 싸움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Fresh News Asia). 그는 변화하는 기후 패턴이 앙코르의 장기적인 보존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예를 들어, 극심한 강우, 가뭄 또는 식생 변화는 사원 구조와 주변 환경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Phnom Penh Post). 이러한 모든 점들은 문화유산 보호가 환경 관리, 지역 사회 복지 및 문화적 연속성과 연결되어 있다는 캄보디아의 총체적인 관점을 보여줍니다. 국왕은 유네스코에 이러한 노력(훈련, 불법 거래 방지 조치, 등재 준비, 법적 보호, 기후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기술 전문가를 캄보디아에 파견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Fresh News Asia). 이는 효과적으로 지속적인 국제 협력을 요청하는 것이었으며, 유네스코의 전문 지식이 현지 역량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우선 순위를 명확히 함으로써 국왕은 문화유산 보존과 더 넓은 개발 목표를 연결하고 지속적인 협력을 촉구하는 회의의 분위기를 설정했습니다. 유네스코 지도부 - 전 세계적 지원 및 공동체 중심: 유네스코 사무총장 오드레 아줄레는 회의를 주최하고 참여하여 유네스코의 강력한 지지를 표명했습니다. 시하모니 국왕의 발언에 답하면서 아줄레 사무총장은 캄보디아의 요청을 환영하고 인류 유산의 가치를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유네스코의 약속을 확언했습니다 (Phnom Penh Post). 그녀는 앙코르를 보편적 가치를 지닌 문화유산의 상징으로 칭찬하고, 이러한 유산 지역 내외에 거주하는 지역 사회 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이는 중요한 주제를 반영합니다. 즉, 문화유산 보존은 유적의 관리인인 지역 사회를 존중하고 그들에게 혜택을 주는 것과 병행되어야 합니다. 아줄레 사무총장은 관광 개발과 보존의 균형을 강조하며, 과밀화와 방치를 모두 피하기 위해 **"엄격한 관리를 통한 관광 흐름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언급했습니다 (Phnom Penh Post). 매년 수백만 명의 관광객이 앙코르를 방문(팬데믹 이전)하여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지만, 기념물과 지역 인프라에 부담을 주기도 합니다. 논의에서는 민감한 사원의 방문객 수 제한, 보행량 분산을 위한 대체 경로 생성, 관광객의 신성한 공간 존중 유도 등 지속 가능한 관광 관행을 구현하기 위한 현재의 노력이 인정되었습니다 (Phnom Penh Post). 아줄레 사무총장은 또한 앙코르 사원의 역사적, 미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신성한 가치를 강조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이는 앙코르가 활발한 종교 유적지와 캄보디아 국민에게 깊은 영적 의미를 지닌 살아있는 유산 경관이므로, 보존은 그 정신을 보존해야 하며 단순한 관광 명소로 축소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상기시켜 줍니다. 사무총장의 발언을 통해 전달된 유네스코의 입장은 다자주의와 연대가 여전히 핵심이며, 앙코르의 ICC를 효과적인 국제 문화유산 협력의 모범으로 제시했습니다. 실제로 회의 기간 중 프랑스 대사관의 트윗은 ICC-앙코르를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다자주의의 예"라고 칭하며, 프랑스와 일본이 지난 30년 동안 ICC를 공동 의장으로 맡아왔음을 강조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아줄레 사무총장의 발언은 국왕의 지적과 일치했지만, 공동체와 전 세계 공공재에 특별한 중점을 두어 앙코르 보존을 모든 인류를 위한 세계유산 보호라는 유네스코의 Mandate의 일부로 구성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 관계자 - 진전과 과제: 여러 캄보디아 관계자들이 현황 업데이트와 의견을 발표했습니다. 문화예술부 장관 포은 사코나 여사는 앙코르 보존에 대한 캄보디아의 성과와 지속적인 노력에 대해 연설했습니다 (Phnom Penh Post). 그녀는 수십 년간의 노력 끝에 앙코르 보존이 확고한 기반 위에 있으며, 정부는 유적지 유지를 위해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확언했습니다 (Phnom Penh Post). 그러나 그녀는 새로운 과제에 대한 경고도 발표했습니다. 특히 사코나 장관은 기후 변화를 앙코르에 대한 심각한 새로운 위협으로 강조했습니다 (Phnom Penh Post). 그녀는 과학적 합의에 따르면 기후 변화가 "심각한 자연적 및 사회적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예를 들어, 장기간의 가뭄은 토양과 기초를 건조시킬 수 있는 반면, 극심한 강우는 침식이나 구조적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변화하는 날씨는 사원을 보호하는 주변 숲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그녀는 "우리는 앙코르 숲과 역사적인 바라이에서 물과 녹지대를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Phnom Penh Post). 그녀의 발언은 앙코르에서 자연과 문화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고대 크메르인들은 정교한 수자원 관리 시스템(바라이 저수지, 해자, 운하)을 설계하고 환경과 섬세한 균형을 이루며 살았습니다. 따라서 앙코르의 구조를 보존하려면 더 넓은 경관(숲, 수역, 생물 다양성)을 보존해야 합니다. 앙코르 주변의 환경 보존에 대한 이러한 통합적 접근 방식은 세계유산과 그 자연적 맥락 및 회복력 연결에 대한 전 세계적 논의와 공감하며, 회의의 주요 논의 주제였습니다. 또한 사코나 장관은 유적 관리 개선과 기념물 복원, 관광 및 지역 사회 개발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전문가와 긴밀히 협력하겠다는 캄보디아의 약속을 재확인했습니다. 앙코르 관리를 담당하는 캄보디아 기관인 압사라 국가청(ANA) 사무총장 항 페우 박사도 또 다른 관점을 제시했습니다. 항 페우 박사의 발표는 특히 현장 관리 경험을 공유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했습니다. 그는 공원 내에 불법적으로 거주하던 비공식 정착민을 재정착시켜 앙코르의 핵심 고고학 구역을 보호하기 위한 최근 노력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Phnom Penh Post). 인구 증가로 인해 수년 동안 많은 가구가 앙코르 보호 구역에 정착했으며, 일부는 보존 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마을이나 사업체를 세웠습니다. 이는 유적의 완전성을 위협합니다. 예를 들어, 주택이나 농업을 위한 토지 개간은 고고학 유적과 전통적인 경관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항 페우 박사는 정부가 앙코르에 "불법적으로" 거주하는 주민들을 확인하고 공원 외부의 새로운 개발 지역으로 자발적인 재정착을 주선했다고 보고했습니다 (Phnom Penh Post). 구체적으로, 룬타엑과 피크스냉이라는 두 개의 재정착지가 이주민들에게 토지, 주택 및 편의 시설을 제공하기 위해 조성되었습니다 (Phnom Penh Post). 회의에서 항 페우 박사는 룬타엑 개발 구역의 시장과 같은 인프라 사진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Phnom Penh Post). 그는 앙코르 지역 112개 마을의 모든 주민이 이주한 것은 아니며, "불법적으로 정착한 사람들만 이주했다"고 밝혔습니다 (Phnom Penh Post). 이는 이주 작전이 장기간 거주한 지역 사회보다는 최근 침입자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항 페우 박사의 이러한 사례 공유는 문화유산 보존과 사회적 관심사 간의 균형을 맞추는 사례 연구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이주민 가족의 지속 가능한 생계와 적절한 시설 보장 방법, 그리고 지역 이해 관계자들을 보존 노력에 참여시켜 향후 침입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습니다. ICC 공동 의장국(프랑스와 일본)은 이주민들의 복지에 대한 국제 사회의 우려를 보여주듯 재정착지를 방문하여 상황을 점검하기도 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이 주제는 회의의 더 넓은 주제인 하향식 결정보다는 지역 사회를 참여시키는 포괄적인 정책의 중요성으로 이어졌습니다. 이주는 캄보디아 당국에 의해 앙코르 보호에 필요한 조치로 제시되었고(보상과 새로운 토지 제공과 함께 이루어졌지만), 인권 감시 단체로부터 강제 이주라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이후 프랑스 대사의 발언(아래 논의)은 미해결 재정착 문제 해결을 언급하며, 이러한 사회적 차원이 이제 문화유산 담론의 중심에 있음을 강조했습니다. 국제 파트너 - 약속과 미래 초점: ICC의 구조를 고려할 때 주요 공여국들은 지지를 재확인하고 향후 10년간의 협력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발언했습니다. 공동 의장국인 일본과 프랑스는 캄보디아와의 오랜 파트너십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유네스코 주재 우에노 아쓰시 대사는 일본이 ICC 공동 의장으로서 "프랑스 측 및 캄보디아 정부와 협력하여 앙코르 및 삼보르 프레이 쿡을 보존"하겠다는 지속적인 약속을 강조했습니다 (Phnom Penh Post). 그는 보존을 위한 역량 강화에 우선 순위를 둘 것이라고 강조하며, 일본이 캄보디아 전문가 양성과 지식 이전을 계속 지원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이는 일본이 1990년대부터 광범위한 전문 지식(예: 일본 팀은 앙코르 와트 참배길, 바이욘 사원 및 기타 프로젝트 복원을 주도했으며, 훈련 프로그램도 병행했습니다)을 제공해 왔기 때문에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 일본의 메시지는 특히 보존 과학, 고고학 및 관광 관리 분야에서 기술 및 재정 지원이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자크 펠레 대사는 과거 성과에 대한 자부심과 미래에 대한 비전을 함께 제시했습니다 (Phnom Penh Post) (Phnom Penh Post). 1993년부터 프랑스의 공동 의장국 역할이 축하되었으며, 프랑스 대사관은 협력을 통해 바푸온 사원(앙코르에서 두 번째로 큰 사원 산) 복원과 **서부 메본(앙코르 서부 바라이 저수지의 대형 사원)**의 현재 복원 작업이 가능했다고 언급했습니다 (Phnom Penh Post). 또한 프랑스는 앙코르에서 "수백 명의 전문가를 위한 문화유산 훈련과 고고학 연구 개발"을 지원해 왔으며 (Phnom Penh Post), 여러 세대에 걸쳐 현지 전문성을 구축했습니다. 펠레 대사는 회의 합의에 따라 프랑스와 일본의 공동 의장국 Mandate가 40년간(향후 10년) 갱신되었다고 확언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이러한 리더십의 연속성은 캄보디아 국왕에게 환영받았으며 (Phnom Penh Post), 기존 프레임워크에 대한 신뢰를 보여줍니다. 앞으로 펠레 대사는 향후 10년 동안 ICC의 초점은 **"인적 자본과 지속 가능한 개발"**이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Phnom Penh Post). 그의 말에 따르면, "지속 가능한 개발은 지역 사회가 프로젝트에 완전히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hnom Penh Post). 그는 현재부터 시작되는 10년 동안 일부 지역 주민의 재정착에 대한 우려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지역 사회 참여 및 재정착 문제를 해결해야 할 "진정한 문제"**로 명시적으로 확인함으로써 프랑스 대표는 과거의 보존 중심 접근 방식이 인본주의적 접근 방식으로 진화해야 함을 인정했습니다. 그는 지금까지 취해진 조치에 대해 캄보디아 당국(압사라)에 감사를 표하고, 특히 재정착 및 생계 문제 논의 시 지역 사회 대표들이 향후 ICC 회의에 참석할 것을 강력히 권고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이는 중요한 발언입니다. 전통적으로 전문가 및 정부 포럼이었던 ICC 회의에 현장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포함시켜 투명성과 포용성을 높이는 것을 제안합니다. 펠레 대사의 발언은 기후 및 환경에도 간접적으로 언급되었으며(지속 가능한 개발은 본질적으로 환경 관리를 포함), 앙코르 보호는 주변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견해를 지지했습니다. 다른 ICC 회원국 대표들(중국, 인도 등)도 유사한 주제를 되풀이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들의 연설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언론에 완전히 보도되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의 국제 파트너들이 앙코르의 성공적인 보존에 대해 캄보디아를 축하하고 지속적인 지원을 확약했음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ICC 회원국에는 아시아, 유럽 및 아메리카 대륙의 국가들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일부는 자신들의 작업에 대한 기술 사례 연구를 공유했을 수 있습니다(예: 인도는 타프롬 사원 복원, 중국은 조세이 테보다 복원 등 ICC 노력의 일환). 회의의 다자간 정신이 일관되게 강조되었으며, 프랑스 대사는 ICC-앙코르를 "효과적인 다자간 협력"의 모델이라고 칭찬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실제로 파리에서의 회의는 앙코르 보존이 정치적 차이를 초월하는 평화로운 국제적 노력임을 상징했습니다. 주제별 논의 - 기술 및 통합 관리: 이러한 연설 외에도 회의 의제에는 명시된 초점 분야에 부합하는 주제별 논의가 포함되었습니다. 보존 분야의 과학 기술 응용은 앙코르에서 30년간 축적된 혁신을 바탕으로 다루어졌습니다. 참가자들은 1990년대(돌 하나하나를 해체하고 재조립하는 전통적인 아나스틸로시스 방식에 의존)의 프로젝트가 오늘날의 디지털 도구 사용으로 어떻게 발전했는지 주목했습니다. 예를 들어, 레이저 스캐닝과 사진 측량 기술은 바이욘 및 앙코르 와트와 같은 사원의 정밀한 3D 모델을 만들어 구조적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원격 감지(LiDAR 조사 등)는 앙코르의 광범위한 경관에 대한 이해를 혁신하여 숲에 숨겨진 고대 도시 격자와 수계를 밝혀냈으며, 이는 공원 주변의 토지 이용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우주 기술의 역할은 최근 중국 프로젝트의 예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위성 이미지를 사용하여 문화유산 보호를 지원합니다 (Nature.com). 회의에서 전문가들은 공학 연구가 개입을 어떻게 개선했는지 공유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기초를 안정화하기 위한 마이크로 그라우팅 사용, 또는 풍화된 조각을 위한 새로운 석재 처리 기술 개발 등이 있습니다. 유네스코는 앙코르를 문화유산 과학의 "실험실"로 만들도록 장려해 왔으며, ICC는 이러한 발전 사항을 전파하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합의는 최첨단 기술의 지속적인 통합이 구조적 안정성(특히 관광객 증가와 기후 변화로 인한 강우량 증가) 및 장기적인 사원 건강 모니터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일 것이라는 것입니다. 기술은 프리젠테이션 및 교육에도 역할을 합니다. 앙코르 유적의 디지털 복원 및 가상 관광은 대중을 교육하고 기념물에 대한 물리적 압력을 완화하는 수단으로 간략하게 언급되었습니다. 또 다른 핵심 주제는 문화유산 보존과 지역 계획의 통합이었습니다. 앙코르가 시엠레아프 지방의 살아있는 지역 내에 존재하므로 도시 계획, 인프라 개발 및 지역 사회 개발과의 조정이 필요합니다. 회의에서는 앙코르 주변의 도로, 호텔 및 기타 인프라가 통제된 방식으로 개발되도록 캄보디아가 기울이는 노력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예를 들어, 순환 도로는 무거운 교통 체증을 사원 지역에서 멀리 유지하고, 시엠레아프 시의 건축 높이 제한은 스카이라인 전망을 보호합니다. 문화부는 회의에서 앙코르 주변 지역 사회의 경제적 및 문화적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계획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주요 성과라고 발표했으며, 이는 문화유산 목표가 지역 개발 계획에 통합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Open Development Cambodia (ODC)). 이는 반복적으로 강조된 지속 가능한 개발의 개념과 일치합니다. 즉, 문화유산은 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일자리, 문화적 자긍심, 개선된 환경)을 제공하여 보존과 개발이 상충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강화되도록 해야 합니다. 요약하자면, 주요 발표들은 강력한 파트너십과 공동의 목표 의식을 보여주었습니다. 논의 주제는 ICC의 30년 여정과 실질적인 복원 성공 축하에서 기후 적응 및 지역 사회 재정착과 같은 현재 과제에 대한 솔직한 인정까지 다양했습니다. 1993년과 2003년 회의가 긴급 구조 및 대규모 복원에 초점을 맞춘 반면, 2023년 회의의 핵심 단어는 지속 가능성, 인적 자본, 공동체 및 적응이었다는 점에서 이전 10년과 비교하여 어조의 변화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앙코르 프로그램의 성숙과 문화유산 관리의 진화하는 글로벌 규범(지역 사회 권리 및 기후 행동 강조)을 반영합니다. 캄보디아 국왕과 관계자들의 참석과 발언은 국가적 주인의식과 우선 순위를 명확히 전달했으며, 유네스코와 국제 파트너들은 향후 보다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접근 방식에 대한 미묘한 기대를 가지고 약속을 재확인했습니다. 3. 발표된 정책 권고 사항 제4차 정부간 회의의 가장 중요한 성과 중 하나는 향후 10년간 앙코르(및 삼보르 프레이 쿡)의 보호 및 개발을 안내할 정책 권고 및 결정 세트였습니다. 참가 정부 및 조직들이 합의한 이러한 권고 사항은 회의 논의에 기반하며, 확인된 요구 사항을 해결합니다. 회의 최종 보고서 및 선언문은 수많은 사항을 구체적인 지침으로 요약했습니다. 주요 권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ICC-앙코르 Mandate 및 공동 의장국 갱신: 회의는 공식적으로 국제 조정위원회(ICC)의 Mandate를 10년 더 연장하여 구조와 기능을 유지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이는 유네스코가 상임 사무국 역할을, 프랑스와 일본이 공동 의장 역할을 맡는 ICC-앙코르 메커니즘이 2033년까지 앙코르 및 삼보르 프레이 쿡의 프로젝트를 계속 감독하게 됨을 의미합니다. 두 공동 의장국 모두 이번 40년간의 역할 유지가 확인되었으며 (Phnom Penh Post), 이는 그들의 리더십에 대한 신뢰를 반영합니다. Mandate 갱신과 함께 새로운 우선 순위(예: 아래 언급된 지역 사회 대표와 같은 추가 이해 관계자의 참여 확대)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ICC의 작업 방식 조정이 장려되었습니다. 이 결정은 국제 지원 및 조정의 연속성을 보장하여 ICC의 임기가 만료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공백을 방지합니다. 지역 사회 참여 및 포용 강화: 주요 정책 방향은 지역 사회를 문화유산 관리 및 혜택에 더욱 완전히 통합하는 것이었습니다. 회의는 앙코르 주변에 거주하는 지역 사회와 공원에서 재정착한 지역 사회와의 정기적인 협의 메커니즘 개발을 권고하여 그들의 목소리가 의사 결정에 반영되도록 했습니다. ICC 및 압사라 당국이 지역 사회 자문위원회 또는 포럼을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었습니다. 프랑스 대사의 발언과 일치하여 회의는 지역 사회 대표들이 향후 ICC 회의에 초대될 것을 촉구했습니다(최소한 재정착, 관광 영향 등 특정 문제에 대해서) (Phnom Penh Post). 이는 참여적 거버넌스로의 주목할 만한 변화입니다. 또한 문화유산 보존 전략의 일환으로 앙코르 인근 지역 사회의 사회 경제적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이 권고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지역 사회 기반 관광, 공예품 시장 및 지역 주민들이 문화유산에서 소득과 자부심을 얻을 수 있는 문화 교육 프로그램 지원 등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 사회는 보존의 파트너이자 수혜자가 되어 보호 구역 내의 불법 정착 또는 자원 착취와 같은 갈등 가능성을 줄입니다. 문화부가 보고한 구체적인 성과는 **"앙코르 주변 지역 사회의 경제적 및 문화적 발전을 지원하기 위한 전략적 계획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었습니다 (Open Development Cambodia (ODC)). 이는 지역 개발 계획(주택, 농업, 서비스)을 문화유산 보존 목표와 일치시켜 지역 주민들이 실질적인 개발 혜택을 누리도록 보장하는 정책을 의미합니다. 또한 과거 재정착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명시적으로 권고되었습니다. 회의는 룬타엑/피크스냉 재정착 프로젝트 결과 검토와 필요한 경우 영향을 받은 가족에 대한 추가 지원(인프라, 생계 훈련, 토지 소유권 부여 등)을 통해 그들의 요구를 완전히 충족시킬 것을 촉구했습니다. 본질적으로 지역 사회 문제를 보존과 별개의 것으로 취급하는 정책에서 보존 정책 프레임워크의 중심으로 만드는 정책 변화가 승인되었습니다. 인적 자원 개발 및 교육: 시하모니 국왕의 강조와 일관되게 일련의 권고 사항은 역량 강화를 목표로 했습니다. 회의는 고고학, 건축, 공학, 보존 과학, 박물관 관리, 관광 관리 등 문화유산과 관련된 모든 분야에서 캄보디아 전문가를 위한 훈련 프로그램 확대를 촉구했습니다. 유네스코는 기술 사절단 파견과 캄보디아 기관과 외국 우수 센터 간의 자매결연을 촉진하도록 요청받았습니다. 예를 들어, 외국 전문가가 단계적으로 철수함에 따라 젊은 캄보디아인들이 사원 복원 작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전통 건축 기술(석공술, 조각술, 전통 석조 기술) 훈련이 강화될 예정입니다. 국왕은 특히 조상 전래 공예 훈련을 강조했으므로 (Fresh News Asia), 압사라 당국 산하에 (아마도 보존 훈련 전문성을 가진 일본과 프랑스와 같은 국가의 지원을 받아) 공예 훈련 학교를 설립하거나 장인 밑에서 도제식 훈련을 강화하는 것이 권고되었습니다. 또 다른 측면은 학문적 발전입니다. 문화유산 보존 및 관리 분야에서 캄보디아인을 위한 장학금 및 연구 기회가 확대될 것입니다. 회의는 과거 캄보디아 직원들이 ICC 장학금을 통해 해외에서 연구 또는 인턴십을 받은 프로그램의 성공을 언급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의 지속을 권고했습니다. 근본적인 정책 목표는 향후 10년 말까지 캄보디아가 문화유산 전문 지식 분야에서 자립하여 외국 컨설턴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는 것입니다. ICC 자체의 반성을 반영하여 "캄보디아 당국이 완전히 자율화될 때까지 국제 협력은 필수적"이라고 언급되었으므로 (Asian Vision), 역량 강화는 자율성을 향한 길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회의는 앙코르의 가치와 보존 관행에 대한 인식이 사회의 모든 계층에 스며들도록(미래 문화유산 전문가와 보존을 지지하는 대중 양성) 문화유산 교육을 지역 교육 과정 및 지역 사회 봉사 활동에 통합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불법 거래 방지 및 법적 보호: 법률 및 법 집행 체계 강화가 우선 순위 권고 사항으로 나왔습니다. 국왕의 요청에 응하여 회의는 캄보디아가 불법 발굴 또는 유물 판매를 허용하는 허점을 메우기 위해 문화유산 법률 및 규정 업데이트를 계속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Fresh News Asia). 공원 내 순찰 및 감시 강화와 지역 사회 경찰 활동(지역 주민들의 의심스러운 활동 신고 장려)을 결합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유네스코와 인터폴은 국제 미술 시장에서 도난당한 유물을 추적하고 반환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요청받았습니다. 이는 최근 몇 년 동안 저명한 크메르 조각상의 송환을 목격한 노력의 연속입니다. 정책 제안은 유물의 포괄적인 목록 작성과 더 강력한 법적 억지력(약탈자와 거래자에 대한 더 엄격한 처벌) 마련입니다. 동시에 회의는 빈곤이 약탈을 조장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지역 사회 개발과 연결하여 생계 개선을 약탈 방지 대책으로 삼았습니다. 또한 현대 개발 압력에 직면한 앙코르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보호가 강조되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는 세계유산 주변의 토지 이용 규제법 집행을 장려받았습니다. 예를 들어, 공원 인근의 무분별한 건설 또는 채석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언급된 구체적인 법적 이니셔티브는 국왕이 언급한 "앙코르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법적 틀 구축"이었습니다 (Fresh News Asia). 이는 토지 이용, 환경 보호 및 앙코르 지역의 모든 프로젝트에 대한 문화유산 영향 평가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회의는 이러한 조치를 지지하며 앙코르 및 삼보르 프레이 쿡 주변의 인프라 프로젝트(도로, 공공 시설 등)에 대해 문화유산 영향 평가를 의무화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이러한 정책 조치는 국가 법률이 보존 요구 사항을 따라잡고 뒷받침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관광 관리 및 지속 가능한 개발 정책: 관광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회의는 관광을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관광 규제에 대한 권고 사항을 제시했습니다. 한 가지 핵심 권고 사항은 향후 5-10년을 위한 업데이트된 앙코르 지속 가능한 관광 관리 계획을 개발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계획은 방문객 수, 허용된 경로, 시간(인기 있는 사원의 경우 시간 제한 티켓 도입 가능성), 그리고 유적 손상 없이 방문객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된 안내 서비스에 대한 지침을 설정할 것입니다.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엄격한 관리를 통한 관광 흐름 균형 유지에 대한 언급 (Phnom Penh Post)은 공식적인 정책 조언으로 공식화되었습니다. 회의는 방문객 영향(돌계단 침식, 밀폐된 공간의 습도 등)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에 따라 관광객 접근을 조정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또 다른 권고 사항은 시엠레아프 지역의 관광 명소를 다양화하는 것이었습니다. 앙코르의 주요 사원에 대한 압력을 줄이고 경제적 혜택을 확산시키기 위해 덜 알려진 사원이나 문화 체험(예: 지역 공예 마을) 방문을 장려하는 것입니다. 이는 앙코르와 삼보르 프레이 쿡을 연결한다는 아이디어와 관련됩니다. 관광객들에게 두 곳을 모두 포함하는 여행 코스를 제공하여 일부 방문객을 삼보르 프레이 쿡(캄퐁톰 지방)으로 유치하여 앙코르의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관광 인프라도 다루어졌습니다. 회의는 앙코르의 역사와 보존에 대한 교육 전시물을 갖춘 새로운 박물관과 개선된 방문자 센터를 건설하려는 캄보디아의 계획을 지지했습니다. 이는 관광객들이 유적에 대한 이해와 존경심을 갖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정책적으로 ICC는 앙코르 바로 주변의 호텔 개발 제한 유지와 앙코르 주변의 더 많은 우물 굴착 대신 지속 가능한 수원(지표수)에서 시엠레아프 시에 물을 계속 공급하는 것을 권고했습니다. 이는 사원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JICA). 이러한 모든 조치는 앙코르 보존이 관광 및 도시 계획과 통합된 포괄적인 지속 가능한 개발 접근 방식에 속합니다. 기후 변화 적응 및 환경 관리: 회의는 기후 및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미래 지향적인 권고 사항을 발표했습니다. 앙코르 및 삼보르 프레이 쿡을 위한 기후 변화 적응 전략 개발을 촉구했으며,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조치가 포함됩니다. 기후 현상(강우, 온도, 식생 변화)이 유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 수해를 방지하기 위한 사원 주변의 배수 강화; 역사적인 바라이 저수지 및 수로를 문화유산이자 기능적인 수자원 관리 시스템으로 보호; 생태적 균형과 지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나무 심기 및 보존 (Phnom Penh Post). 또한 증가된 폭풍이나 생물학적 성장과 같은 요인에 가장 취약한 구조를 파악하고 우선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는 것도 권고에 포함되었습니다. 전문 지식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회의는 앙코르의 기후 변화 적응 프로젝트에 대한 연구 및 아마도 자금 지원 측면에서 국제적 지원을 호소했습니다(예: APSARA에 조언할 기후 과학자 또는 수문학자와의 파트너십). 또한 공원 내 오염 및 폐기물 관리(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석재의 화학적 침식을 방지)와 앙코르 공원 완충 구역 내 불법 벌목 또는 토지 개간 방지와 같은 유적 주변의 환경 정책이 강화되었습니다. 본질적으로 정책 방향은 문화유산 보존과 환경 보존을 동전의 양면으로 취급하여 앙코르의 숲, 수자원 및 야생 동물 관리가 문화유산 Mandate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앙코르에서 "자연과 문화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개념으로 요약되었으며 (Phnom Penh Post), 캄보디아 내에서 문화유산 당국과 환경 부처 간의 부처 간 협력 권고로 이어졌습니다. 과학 기술 활용 - 문서화 및 모니터링: 기술 발전에 따라 회의는 앙코르의 광대한 문화유산을 디지털화하고 문서화하는 데 투자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주요 정책 결정은 모든 주요 앙코르 기념물의 포괄적인 3D 스캐닝을 계속하는 것이었습니다(이미 많은 부분이 스캔되었지만 복원 작업 또는 자연적인 마모 이후 업데이트가 필요합니다). 상세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은 보존(손상된 경우에도 미래 복원을 안내할 기록)과 교육 보급(가상 앙코르 투어) 모두에 기여합니다. 권고에는 앙코르 주변의 토지 이용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원격 감지 사용 확대와 구조적 문제에 대한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예: 센서 또는 주기적인 측량을 사용하여 사원이 기울거나 돌이 움직이는지 감지하여 사전 예방적 수리 가능)도 포함되었습니다. ICC는 과거 기술 협력(예: 일본 팀이 바이욘 사원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설치한 계측기)의 성공 사례를 언급하고 이러한 이니셔티브 확대를 장려했습니다. 이를 조정하기 위해 ICC-앙코르 산하에 다양한 국가의 엔지니어, 과학자 및 ICT 전문가를 모아 앙코르 보존을 위한 첨단 기술 솔루션을 자문하는 과학 기술 태스크 포스를 구성하는 것이 제안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책 권고 사항은 개방형 데이터 공유를 옹호했습니다. 앙코르 프로젝트에서 나온 연구 및 데이터를 전 세계 문화유산 공동체에 널리 공개하여 앙코르의 위치를 국제적 모범 사례 및 보존 혁신을 위한 모델 사이트로 확고히 하는 것입니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권고 사항은 보존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융합한 포괄적인 행동 계획에 해당합니다. 이는 30년 동안 축적된 교훈을 반영합니다. 예를 들어, 이전 ICC 회의에서도 권고 사항이 나왔습니다(2003년 제2차 회의에서는 보존 및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128개의 권고 사항이 발표되었습니다 (UNESCO), 그 중 다수가 시행되었습니다). 2023년 권고 사항도 마찬가지로 실용적이고 이해 관계자들이 "주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다음 회의까지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어조는 실용주의와 파트너십입니다. 캄보디아는 내부 정책 개혁(법률, 지역 사회 참여, 계획)을 담당하고 기술적 및 재정적 필요에 대해 지속적인 외부 지원을 약속받았습니다. 중요한 것은 권고 사항이 지속 가능한 개발이라는 글로벌 의제와 명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입니다(캄보디아의 국가 개발 전략에 문화유산을 통합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문화유산에 대한 유네스코의 강조를 반영). 예를 들어, 문화유산 보존을 양질의 교육, 지역 사회를 위한 양질의 일자리, 불평등 감소(문화유산 지역 거주자), 기후 행동 등과 같은 목표와 연결함으로써 이러한 결과는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와 일치합니다. 후반 섹션에서 다루어질 문화유산 분야의 공적개발원조(ODA)에 대한 강조도 권고 사항에 나타납니다. 본질적으로 공여국들이 훈련, 지역 사회 프로젝트, 기후 적응 등 확인된 이러한 우선 순위 분야에 대한 캄보디아 지원을 조정할 것을 촉구하는 것입니다. 이번 제4차 회의의 정책 권고 사항은 공식적으로 문서화되었으며(회의록 또는 선언문), ICC-앙코르 및 캄보디아 당국을 위한 로드맵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는 합의된 결정이므로 ICC의 모든 회원국은 자국의 역량 범위 내에서 이를 시행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권고 사항을 채택함으로써 회의는 숭고한 논의가 과거의 성과를 기리고 미래의 요구를 사전에 해결하는 실행 가능한 약속으로 전환되도록 보장했습니다. 4. 공유된 사례 연구 및 현장 경험 회의 전반에 걸쳐 참가자들은 앙코르 및 유사한 문화유산 환경 관리의 과제와 성공 사례를 보여주기 위해 다양한 사례 연구, 실제 사례 및 현장 경험을 공유했습니다. 이러한 실제 사례는 정책 논의를 구체적인 교훈에 기반하게 하여 논의를 풍부하게 했습니다. 강조된 주요 사례 연구 및 경험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앙코르 재정착 프로그램 - 룬타엑 마을: 발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캄보디아 당국은 앙코르 공원 내 거주민들을 새로 개발된 지역으로 재정착시킨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이는 문화유산 지역 내 인간 정착이라는 민감한 문제를 캄보디아가 어떻게 처리했는지를 보여주는 가장 주목할 만한 현장 경험 중 하나였습니다. 항 페우의 룬타엑 발표는 자세한 사례 연구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앙코르 고고학 공원 내에서 (종종 사원 유적 근처의 금지 구역에서) 거주하고 농사를 짓던 수백 가구가 약 20km 떨어진 특별히 건설된 마을인 룬타엑으로 자발적으로 이주한 과정을 설명했습니다 (Phnom Penh Post). 룬타엑에서 각 가족은 토지와 주택 지원을 받았으며, 도로, 우물, 학교, 시장 및 사원과 같은 인프라가 살기 좋은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건설되었습니다 (Phnom Penh Post). 회의 기간 동안 룬타엑 시장, 주택 및 공동체 시설 사진이 이주가 단순한 강제 퇴거가 아니라 개발을 염두에 두고 수행되었음을 보여주기 위해 전시되었습니다 (Phnom Penh Post). 이 프로젝트의 현장 경험은 많은 통찰력을 제공했습니다. 예를 들어, 목적지 부지를 미리 잘 준비하는 것의 중요성(초기에는 일부 가족들이 편의 시설이 갖춰진 것을 보기 전까지 주저했습니다)과 지속적인 지원의 필요성(룬타엑의 일자리 창출은 사람들이 앙코르로 다시 돌아가지 않거나 빈곤해지지 않도록 하는 데 중요합니다)을 강조했습니다. 프랑스와 일본 팀을 포함하여 이 과정을 감시해 온 국제 전문가들은 물리적 재정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졌지만, 지역 사회에 대한 사회 문화적 영향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이 사례는 이주의 트라우마를 완화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습니다. 다른 국가(예: 아프리카 국립 공원 주변 또는 아시아 인프라 프로젝트 주변의 재정착)의 교훈이 지역 사회 참여, 동등하거나 더 나은 생계 제공 및 문화적 연속성 보장(예: 이주민들은 앙코르의 조상 사원을 뒤로하고 떠나는 것이 감정적으로 어려웠기 때문에 룬타엑에 새로운 사원을 건설하여 영적 전통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과 같은 모범 사례를 제시하기 위해 언급되었습니다. 룬타엑 사례 연구는 궁극적으로 보존과 사람들에 대한 캄보디아의 헌신을 보여주었고, 다른 국가들이 연구할 수 있는 문화유산 관련 재정착의 본보기(비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를 제공했습니다. 또한 ICC 전문가들이 룬타엑/피크스냉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개선 사항에 대해 조언하도록 하는 권고 사항과 같이 이러한 경험이 모니터링 및 평가되어야 한다는 회의의 합의를 강조했습니다. 바푸온 사원 복원(1995~2011): 국제 협력 30주년의 성과를 기념하기 위해 앙코르 톰의 바푸온 사원 복원이 성공적인 문화유산 보존의 대표적인 사례 연구로 강조되었습니다. 11세기 피라미드형 사원인 바푸온은 20세기 들어 부분적으로 붕괴되어 폐허가 된 상태였습니다. 프랑스 극동학원(EFEO) 주도의 팀은 1960년대에 사원을 해체(각 돌에 정밀하게 번호 매김)하여 복원을 시작했지만, 캄보디아 내전으로 인해 작업이 중단되었습니다. 1990년대에 ICC 조정 하에 프로젝트가 재개되었으며, 크메르 루즈 시대의 혼란으로 기록이 흩어져 원래 계획 없이 수만 개의 돌을 재조립해야 했기 때문에 종종 세계에서 가장 큰 3D 퍼즐로 불립니다 (Cambodianess). 이 프로젝트에 익숙한 회의 대표들은 16년 넘게 국제 및 캄보디아 전문가들이 협력하여 바푸온을 재건했으며, 2011년에 마침내 준공되었다고 전했습니다. 현재 바푸온은 인내와 국제적 헌신의 증거로 서 있습니다. 바푸온에서 얻은 교훈에는 상세한 문서화의 가치(초기 아나스틸로시스 노력은 모든 돌을 기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합니다), 전문 지식의 연속성 유지의 중요성(일부 고위 보존 전문가들은 수십 년 동안 이 작업에 참여했습니다), 그리고 훈련(많은 캄보디아 건축가와 엔지니어들이 바푸온 현장에서 실력을 쌓았고, 현재 압사라의 지도자입니다) 등이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또한 ICC의 문제 해결 접근 방식을 보여주었습니다.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예: 바푸온 서쪽 면의 거대한 와불상 아래 지반 침하), 국제위원회는 지식을 모아 이를 해결했습니다. 이 사례는 과거 작업을 칭찬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하게 복잡한 작업(예: 향후 삼보르 프레이 쿡 복원)도 동일한 끈기와 협력을 통해 달성 가능하다는 확신을 심어주기 위해 회의에서 공유되었습니다. 이는 프랑스(및 기타 공여국)의 ODA 자금이 대규모 보존 성공에 효과적으로 사용된 방법을 보여주었습니다 (Phnom Penh Post). 다국적 복원 노력 (앙코르 와트, 바이욘 등): 회의에서는 다양한 국가들이 수행한 다양한 복원 프로젝트에 대한 요약도 발표되어 사실상 사례 연구 모음집 역할을 했습니다. 앙코르 와트 보존: 일본과 인도 팀이 앙코르 와트에서 작업해 왔습니다. 일본 앙코르 보존팀(JSA)은 특히 앙코르 와트 참배길 및 기타 구조물을 복원했으며, 인도는 앙코르 와트 부조를 복원하고 현재 타 프롬 복원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경험은 구조 공학자와 미술사학자와 같은 학제간 작업의 필요성을 강조했으며, 1990년대 ICC 전문가들이 처음 공식화하고 실제 경험을 통해 개선된 앙코르 보존을 위한 표준화된 지침("앙코르 헌장"이라고도 함) 개발에 기여했습니다 (Asian Vision). 예를 들어, 한 가지 지침은 가능한 한 아나스틸로시스(원래 재료 사용)를 최대한 사용하고 새로운 대체 석재는 명확하게 표시하는 것입니다. 이는 이러한 모든 프로젝트에서 따르는 원칙입니다. 바이욘 사원 프로젝트: 수많은 석조 얼굴로 유명한 바이욘은 주로 일본(JSA)이 주도하고 현재 압사라 팀이 진행하는 장기 프로젝트입니다. 30년 넘게 바이욘 보존에 헌신한 일본 전문가 나카가와 타케시 박사는 ICC의 "본질"을 정치적 조정과 국가 간 전문가 수준의 기술 논의 결합이라고 언급했습니다 (Asian Vision). 회의에서 바이욘 프로젝트는 불안정한 모래 기반으로 인해 심각한 상태였던 복잡한 구조 복원의 사례 연구로 발표되었습니다. 수년에 걸쳐 바이욘 구조에 대한 상세한 연구, 국제 공동 작업 그룹 및 캄보디아 엔지니어를 위한 워크숍이 개최되었습니다. 이는 많은 탑의 성공적인 안정화로 이어졌습니다. 공유된 핵심 교훈은 ICC 프레임워크 내에서의 국제 전문가 교류가 결과를 어떻게 개선했는지였습니다. 각국 팀은 서로 다른 아이디어를 가져왔고(예: 프랑스는 유럽 대성당 복원 경험, 일본은 최첨단 내진 분석 적용), ICC 기술 세션에서 토론함으로써 중복 작업을 피하고 최선의 접근 방식을 공동으로 선택했습니다 (Asian Vision) (Asian Vision). 바이욘 팀이 엔지니어링 학생들을 현장 인턴으로 초대한 것도 역량 강화를 위한 모범 사례로 강조되었습니다. 서부 메본 복원: 프랑스는 앙코르 서부 바라이(저수지)의 섬에 위치한 작은 사원인 서부 메본의 현재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비교적 새로운 프로젝트(2010년대 중반 시작)이며 수위가 접근을 허용할 때만 계절적으로 작업해야 하는 독특한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는 문화유산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 조건에 대한 사례 연구입니다. 팀은 사원의 기초를 발굴하고 복원하기 위해 임시 댐과 배수 시설을 건설해야 했습니다. 또한 발굴 중에 유명한 비슈누 청동 조각상 파편을 발견하여 고고학적 측면도 추가되었습니다. 회의에서 이 사례는 적응력과 다재다능한 팀(고고학자, 잠수부 및 엔지니어 결합)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문화유산 프로젝트가 지역 사회 및 관광 측면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지역 주민들이 작업에 고용되었고, 복원되면 서부 메본은 새로운 명소가 되어 아마도 배를 통해 접근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관광을 다양화할 것입니다. 여기서 얻은 교훈은 더 작거나 외딴 유적지라도 앙코르 전체 경관에 중요하며 주의를 기울일 가치가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삼보르 프레이 쿡이 ICC의 범위에 포함된 이유를 뒷받침하는 요점이기도 합니다(삼보르 프레이 쿡 역시 외딴 곳에 있고 공여국의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앙코르에서 성공적인 접근 방식(ICC 기술 세션 구조 또는 지역 사회 관광 이니셔티브와 같은)이 삼보르 프레이 쿡에 복제되고 있다는 점이 제안되었습니다. 따라서 두 유적지 간의 경험 공유는 상호 유익합니다. ICC는 본질적으로 삼보르 프레이 쿡에서 집단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실을 갖게 됩니다. 문화유산 훈련 프로그램: 눈에 띄지는 않지만 중요한 공유된 "경험"은 ICC 프로그램을 통해 캄보디아인들이 어떻게 훈련을 받았는지에 대한 이야기였습니다. 자주 인용되는 한 가지 예는 이탈리아 및 독일 전문가들의 지원으로 압사라 내에 설립된 석재 보존 부서로, 사원 조각 보존 및 석재 표면 안정화에 대한 실무 훈련을 제공했습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 훈련받은 사람들은 현재 프로젝트를 이끄는 전문가입니다. 회의에서는 장학금이나 현장 견습을 통해 혜택을 받은 캄보디아 보존 전문가들의 증언이 소개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일부 직원은 ICC 장학금을 통해 프랑스나 일본에서 공부하고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받아 돌아와 현지 전문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이러한 인간적인 이야기는 "훈련자 양성" 접근 방식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사례 연구 역할을 합니다. 초기 훈련생들은 결국 다음 세대를 훈련시킵니다. 이러한 경험은 훈련을 계속하고 확대해야 한다는 권고(앞서 언급한 인적 자원 개발 정책)를 강화했습니다. 또한 시엠레아프에 설립된 문화유산 관리 기술자 양성을 위한 압사라 문화유산 학교는 ICC 회원국들의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모델로 논의되었습니다. 이러한 훈련 사례 연구에서 얻은 일반적인 합의는 인력에 대한 투자가 문화유산 보존에 기하급수적인 수익을 가져다준다는 것입니다. 기술 적용 - LiDAR 및 수자원 관리 연구: 기술적인 측면에서 공유된 흥미로운 사례 연구는 앙코르에서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항공 레이저 스캐닝 사용이었습니다. 몇 년 전, 유네스코와 시드니 대학 간의 협력을 통해 앙코르 상공에서 LiDAR 조사를 실시하여 숲 덮개 아래 숨겨진 광대한 도로, 언덕 및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사원들의 도시 네트워크를 밝혀냈습니다. 이 발견은 첨단 기술 도구가 유적지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혁신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 연구였습니다. 회의에서 이는 앙코르 맥락에 대한 지식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언급되었습니다. 이는 관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예를 들어, 고대 유적의 전체 범위를 알면 압사라 당국이 현대 건설을 허용하지 않아야 할 곳이나 배수 계획을 세우는 방법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고대 운하를 존중해야 하기 때문). 또 다른 사례는 지하수 관리였습니다. 2000년대 시엠레아프 시의 급격한 확장과 우물 굴착이 앙코르 아래 지반 침하(사원은 수위 위의 모래 토양 위에 있습니다)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켰을 때, JICA 자금 지원 프로젝트는 수문 지질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수원을 인근 강으로 전환하는 계획을 시행했습니다. 이는 중요한 예방 조치 사례 연구였습니다. 회의는 이 프로젝트 덕분에 도시가 이제 처리된 지표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거주자/관광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유적지 아래에서 지하수를 추출하는 대신 지표수를 사용하여 앙코르 와트 유적을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언급했습니다 (JICA) (JICA). 이는 공공 유틸리티 문제(도시 물 공급) 해결이 문화유산 보존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놀라운 예입니다. 이러한 통합 사례 연구는 총체적인 유적 관리 주장을 강화합니다. 또한 이는 개발 및 보존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는 긍정적인 ODA 성과(이 경우 일본의 지원)를 보여줍니다. 삼보르 프레이 쿡 - 새로운 유적지, 새로운 도전 과제: 참가자들은 이제 ICC 산하에 있고 회의 제목에도 명시적으로 언급된 삼보르 프레이 쿡의 경험도 공유했습니다. 삼보르 프레이 쿡은 비교적 최근에 등재(2017년)되어 국제 지원의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캄보디아 문화부와 ICC 파트너들은 벽돌 사원 문서화, 일부 구조물의 응급 안정화, 삼보르 프레이 쿡 주변 마을의 지역 사회 프로젝트(앙코르와 마찬가지로 일부 주민들이 사원 한가운데 거주하는 것 포함)와 같은 초기 프로젝트를 설명했습니다. 삼보르 프레이 쿡 관리의 사례 연구 중 하나는 당국이 수공예품 개발을 위해 지역 사회와 협력한 방법입니다. 지역 주민, 특히 여성들은 삼보르 프레이 쿡 예술에서 영감을 받은 기념품(예: 사원 문양의 짠 매트)을 만드는 훈련을 받아 소득을 창출하는 동시에 유적지에 대한 인식을 높였습니다. 또 다른 현장 경험은 앙코르의 경험을 통해 중간 조치가 전체 복원이 완료될 때까지 시간을 벌 수 있다는 것을 배운 캄보디아-일본 공동 프로젝트로, 삼보르 프레이 쿡의 가장 풍화된 일부 사원 위에 간단한 임시 보호 시설을 설치한 것입니다. 삼보르 프레이 쿡에서 직면한 과제(앙코르의 석재보다 더 부드러운 벽돌 재료가 더 빨리 마모되는 것과 관광객 수가 적어 수익 창출이 덜 되는 것과 같은)가 논의되었습니다. 이 비교 사례 연구는 앙코르 모델을 확장할 수 있지만 유적지별 조건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는 점을 ICC에 상기시키는 역할을 했습니다. 앙코르에서 성공적인 일부 접근 방식(예: ICC 기술 세션 구조 또는 지역 사회 관광 이니셔티브)이 삼보르 프레이 쿡에 복제되고 있다는 점이 제안되었습니다. 따라서 두 유적지 간의 경험 공유는 상호 유익합니다. ICC는 본질적으로 삼보르 프레이 쿡에서 집단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실을 갖게 됩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사례 연구 및 현장 경험은 회의에 실질적인 지식을 불어넣었습니다. 이는 정책이 성공하거나 조정이 필요한 부분을 보여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재정착 사례는 더 많은 지역 사회 대화의 필요성을 보여주었고(이로 인해 해당 권고 사항이 나옴), 바푸온과 같은 복원 사례 연구는 ICC의 방법과 장기적인 헌신을 입증했으며, 기술 적용은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국제 협력 덕분에 한때 무너져 내렸던 사원이 완전히 복원된 것을 보는 것은 노력을 계속할 강력한 동기를 부여했습니다. 학문적 관점에서 이러한 사례는 문화유산 관리의 주요 개념, 즉 아나스틸로시스(바푸온), 지역 사회 고고학(재정착 및 지역 사회 공예), 예방적 보존(지하수 관리) 및 실천적인 역량 강화(훈련 프로그램)를 예시합니다. 강의 환경에서 각 사례는 학생들이 이론과 실제가 어떻게 만나는지 분석할 수 있는 미니 사례가 될 수 있습니다. 앙코르 회의는 사실상 학문적 심포지엄과 유사한 지식 교환 포럼 역할을 했으며, 각 참가자는 다른 사람들의 성공과 실패로부터 배울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문서화하고 논의함으로써 회의는 제도적 기억이 구축되도록 했습니다. 예를 들어, 부적절한 기록 보관과 같은 실수(1970년대 이전 바푸온에서 발생)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거나, 바이욘에서의 협력적인 문제 해결과 같은 긍정적인 경험이 표준 관행이 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회의에서 공유된 사례 연구는 앙코르에서의 공동 성과를 축하했을 뿐만 아니라 교훈을 얻기 위해 비판적으로 검토했습니다. 이러한 공유 및 학습 문화는 ICC-앙코르의 강점 중 하나입니다 (Asian Vision) (Asian Vision). 이는 앙코르를 세계 문화유산 보존의 "학교"로 만들었습니다. 제4차 정부간 회의는 이 학교가 최신 학생들(삼보르 프레이 쿡 또는 기타 새로운 문화유산 유적지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을 계속 교육하고 30년 동안 얻은 지혜가 다음 세대의 프로젝트 및 정책에 영향을 미치도록 보장했습니다. 5. 확인된 과제 및 미래 방향 30년간의 상당한 진전을 기념하는 동시에 회의는 오늘날 앙코르(및 삼보르 프레이 쿡)가 직면한 미해결 과제와 예측되는 미래의 문제들을 조명했습니다. 이러한 과제들을 공개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참가자들은 미래 지향적인 전략을 더 잘 수립할 수 있었습니다. 논의는 본질적으로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평가와 해결책에 대한 낙관적인 헌신 사이의 균형을 이루며, 향후 10년간의 미래 방향과 우선 순위를 제시했습니다. 확인된 주요 과제와 그에 따른 미래 지향적 지침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 및 환경 스트레스: 아마도 가장 시급한 새로운 과제는 앙코르 보존에 대한 기후 변화의 영향이었습니다 (Phnom Penh Post). 30년 동안 앙코르는 전쟁과 약탈과 같은 위협을 극복했지만, 기후로 인한 위협은 점점 더 큰 우려 사항입니다. 회의는 더 불규칙한 몬순 강우, 더 강력한 폭풍, 더 높은 온도와 같은 변화하는 기상 패턴의 증거를 언급했으며, 이는 사원과 유적지의 생태계 악화를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사코나 장관의 기후 변화가 "심각한 자연적 및 사회적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가 분위기를 조성했습니다 (Phnom Penh Post). 구체적인 과제에는 기초 주변의 홍수, 사원 언덕과 참배길의 침식, 깨지기 쉬운 조각품의 수해를 유발하는 강우량 증가; 반대로 가뭄 기간은 지반 수축과 무거운 석조 구조물의 불안정성을 유발; 습도로 인해 이끼, 지의류, 침입 식물과 같은 생물학적 성장이 더 확산되어 사원 석재에 영향; 더 덥고 건조한 계절에는 산불 위험 증가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우려는 2022년 심한 폭풍으로 나무가 쓰러지고 타프롬 사원 일부가 손상된 사례와 같은 최근 사건을 인용한 압사라 당국에 의해 강조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미래 방향은 포괄적인 기후 적응 접근 방식입니다. 회의는 문화유산 관리자들이 기후 과학자들과 협력하여 미래 시나리오를 모델링하고 보호 조치를 고안해야 한다고 결론지었습니다. 한 가지 미래 방향은 앙코르의 자연적 회복력을 향상시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고대 수자원 관리 시스템(역사적 운하 및 둑 청소)을 복원하여 경관이 물을 더 잘 흡수하고 조절하여 홍수 위험을 줄이는 것입니다 (Phnom Penh Post). 숲 덮개와 그늘을 유지하기 위해 가뭄에 강한 토종 나무 종을 심는 것도 또 다른 아이디어였습니다. 숲은 유적 주변의 미기후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섬세한 구조물을 보호하기 위해 피뢰침이나 폭풍우 대피소를 설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후 변화의 영향을 시간에 따라 추적하기 위해 현재 기본 조건(사진, 3D 스캔 등)을 체계적으로 문서화하는 것이 제안되었습니다. 기후 행동은 고립된 환경 문제가 아닌 유적지의 지속 가능한 관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회의는 이를 유네스코의 더 넓은 이니셔티브(예: 세계유산과 기후 회복력 연결) 및 캄보디아의 국가 기후 정책과 일치시켰습니다. 학문적으로 앙코르는 문화유산 분야의 기후 변화 적응에 대한 사례 연구가 될 준비가 되어 있으며, 향후 10년 동안은 미래 지향적인 조치로 시범 프로젝트(모니터링 시스템, 녹색 인프라)가 구현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광 압력 및 지속 가능한 방문객 관리: 앙코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고고학 유적지 중 하나였습니다(코로나19 이전인 2018년에는 최대 26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방문). 관리되지 않은 관광은 기념물에 물리적 부담을 주고 지역 사회 생활을 방해할 수 있는 이중적인 과제로 확인되었습니다. 회의는 팬데믹 이후 전 세계 여행이 회복됨에 따라 방문객 수가 다시 증가하여 이전 수준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했습니다. 언급된 과제에는 인기 있는 사원에서의 혼잡(예: 앙코르 와트 일출 관람객 혼잡), 수백만 명의 발걸음으로 인한 석조 계단 및 바닥 마모, 문화유산 지역을 침범할 수 있는 관광 시설 건설 압력, 문화 관행의 상품화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관광이 지역 주민들에게 충분한 혜택(일자리, 소득)을 제공하여 불편을 정당화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과제도 있습니다. 합의된 미래 방향은 지속 가능한 관광 관리를 엄격하게 추구하는 것입니다. 유네스코의 아줄레 사무총장은 균형 유지를 강조하며 관광 흐름에 대한 "엄격한 관리"를 촉구했습니다 (Phnom Penh Post). 실제로 향후 10년 동안은 앙코르를 통과하는 규제된 순환 경로(관광 경로) 확대하여 방문객을 더 고르게 분산; 극도로 인기 있는 장소에 대한 입장객 수 제한 또는 시간 제한 입장 도입 가능성; 관광객들에게 존중하는 태도를 교육하기 위한 개선된 안내 표지판 및 설명(깨지기 쉬운 부분을 만지거나 올라가는 등의 손상 최소화); 그리고 수용력 연구와 일치하는 문화유산 관광 정책 강화 등이 예상됩니다. 또 다른 미래 전략은 앙코르의 주요 유적지에 대한 집중도를 줄이고 경제적 혜택을 확산시키기 위해 덜 자주 방문하는 사원이나 다른 문화 유적지(앞서 언급한 삼보르 프레이 쿡 또는 지역 사회 체험과 연결) 방문을 장려하는 것입니다. 관광의 과제는 수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앙코르 입장권 판매 수익은 압사라의 업무 및 지역 경제의 상당 부분을 자금 지원합니다. 팬데믹은 관광 의존도의 취약성을 보여주었습니다. 따라서 미래 방향에는 관광을 더욱 회복력 있고 공평하게 만드는 것이 포함됩니다. 지역 주민들이 홈스테이나 가이드 워킹 투어를 제공하는 지역 사회 기반 관광은 지역 사회 역량을 강화하고 관광객 경험을 풍부하게 하는 동시에 주요 사원에 대한 압력을 줄이는 방법으로 지적되었습니다. 인프라 측면에서 앙코르로의 효율적인 대중 교통, 환경 친화적인 호텔 등 시엠레아프 시를 지속 가능한 관광 도시로 계속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졌습니다. 회의 참가자들은 앙코르 관광이 2010년대의 통제되지 않은 성장으로 되돌아가서는 안 되며, 대신 문화유산 보존이 관광 관행을 결정하고 관광 관행이 문화유산 보존을 결정하는 모델을 따라야 한다는 데 폭넓게 동의했습니다. 이는 섬세한 균형을 요구하며 ICC의 향후 업무의 핵심 초점이 될 것입니다. 도시화 및 토지 이용 압력: 관광 성장과 함께 앙코르 지역의 도시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때 작은 마을이었던 시엠레아프는 앙코르 공원 경계에 가까워지는 교외 지역을 가진 도시로 성장했습니다. 통제되지 않으면 이는 서식지 손실, 시각적 침해, 심지어 유적지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회의는 앙코르 주변의 도시 및 인구 증가를 상당한 압력으로 확인했습니다 (The 4th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for the safeguarding and the development of Angkor | UNESCO). 특히 (지역 주민 및 관광 경제로 인해 유입된 이주 노동자) 증가하는 인구를 위한 토지, 주택 및 서비스 수요는 법률상 보호되어야 하는 지역에 침입 사례로 이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사원 지역 근처의 게스트하우스나 레스토랑의 확산은 규제되지 않으면 경관을 손상시키고 하수 시스템을 과부하시켜(해자나 지하수로 흘러들어가는 물을 오염시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도로 또는 전력선과 같은 인프라 프로젝트가 부실하게 계획되면 고고학 지역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협을 인식한 회의의 미래 지향적 지침은 통합적인 지역 계획을 강조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는 국제적 의견을 바탕으로 개발된 업데이트된 시엠레아프 시 도시 기본 계획 및 앙코르 공원 구획 계획을 완전히 시행하도록 장려받았습니다. 이러한 계획은 엄격한 구역(개발이 허용되지 않는 핵심 구역, 제한된 활동만 허용되는 완충 구역 등)을 지정합니다. 문제는 집행이므로 향후 방향은 압사라 당국과 다른 기관(지방 당국, 관광부 등) 간의 조정을 강화하여 모든 개발 프로젝트가 문화유산 영향 평가를 받도록 하는 것입니다. 핵심 구역에서 주민을 재정착시키는 현재 진행 중인 작업(앞서 논의한 사례)은 이 과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 다른 미래 방향은 문화유산에 민감한 지역에서 사업체와 주민을 유치하기 위해 대체 경제 구역 또는 위성 개발 지역(룬타엑 또는 시엠레아프의 새로운 시장 지역과 같은)을 만드는 것입니다. 본질적으로 지역이 번영하도록 허용하면서 성장을 앙코르에서 멀리 유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참가자들은 또한 앙코르의 시각적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의 중요성을 언급했습니다. 예를 들어, 건물 높이 제한이 유지되도록(따라서 나무 선 위로 고층 건물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밤에는 조명이 사원 주변의 어두운 하늘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도시화의 이러한 과제는 많은 세계유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이며, 앙코르의 미래 계획은 모범이 될 수 있습니다. 회의는 문화유산이 모든 지역 개발 정책의 중심 고려 사항이 되어야 한다고 결의했습니다. 이는 유네스코의 역사적 도시 경관 접근 방식과 일치하는 입장입니다. 향후 10년 동안 토지 이용 변화, 구역 내 인구, 집행 조치와 같은 지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이 분야의 성공을 측정하는 데 중요할 것입니다. 지역 사회 생계 및 사회적 포용: 이전 섹션에서 재정착 문제를 다루었지만, 지속적인 더 넓은 과제는 앙코르 내외에 거주하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보존의 파트너가 되고 그로 인해 부당한 부담을 지지 않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앙코르에서 약 1만 명의 주민을 "강제 퇴거"시켰다는 비판(예: 국제앰네스티)이 있었습니다 (Southeast Asian Archaeology). 이는 보존과 인권 및 빈곤 감소의 균형을 맞추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회의는 역사적으로 문화유산 보호가 때로는 지역 주민들을 소외시키는 하향식 방식으로 추진되었다는 점을 인정했습니다. 이는 현재 해결되고 있는 비판입니다. 과제는 앙코르가 지역 주민들의 복지를 "희생하여" 보존된다는 인상을 피하는 것입니다. 앙코르 공원 내에 거주하는 많은 사람들은 가난하며 자급자족 농업이나 관광객에게 기념품 판매에 의존합니다. 불법 정착 단속은 유적지 무결성에 중요하지만 일부 가족들의 생계를 끊어놓았습니다. 여기서 미래 방향은 포괄적이고 지역 사회 중심적인 접근 방식을 강력히 지향하는 것입니다. (앞서 언급한) 권고 사항에는 의사 결정에 지역 사회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또한 이러한 지역 사회를 특별히 대상으로 하는 개발 프로젝트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술 개발(앙코르 마을 주민들에게 새로운 직업, 문화유산 보존 분야의 일자리(정원사, 유적지 경비, 압사라 소속 장인 등) 훈련). 공원 바로 외부에 거주하든 재정착지에 거주하든 지역 사회에 개선된 서비스(학교, 진료소, 깨끗한 물)를 제공하는 것도 캄보디아의 사회 개발 목표와 일치하는 또 다른 방향입니다. 목표는 지역 사회가 앙코르의 세계유산 등재에서 실질적인 혜택을 보고, 이는 보호 조치에 대한 지지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다음 회의까지 강제 퇴거 보고가 없고 대화와 계획을 통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성공일 것입니다. 대신, 현지인들이 문화유산 체험의 일부로 적극적으로 문화 관광에 참여하는(예: 전통 춤 공연 또는 홈스테이) 앙코르 주변의 번성하는 문화 마을이 나타날 것입니다. 작은 사원의 유지 보수 또는 공원 규칙 집행과 같은 일부 측면의 지역 사회 공동 관리를 시범적으로 운영하여 주민들에게 관리 역할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지역 사회 통합이라는 과제는 역량 강화 및 혜택 공유라는 미래 방향으로 해결되고 있으며, 지역 주민들을 앙코르 유산 보호의 진정한 이해 관계자로 만들고 있습니다. 펠레 대사가 언급한 것처럼, "지역 사회가 완전히 참여해야 하며... 이 새로운 10년 안에 재정착에 대한 우려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Phnom Penh Post) (Phnom Penh Post). 국제 지원 및 협력 유지: 확인된 미묘하지만 실질적인 과제는 ICC가 40년간 이어짐에 따라 국제 파트너의 지속적인 헌신과 효과적인 협력을 보장하는 것이었습니다. 30년 후, 앙코르가 더 이상 위험 목록에 없고 캄보디아의 역량이 성장했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앙코르가 "더 이상 도움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회의는 캄보디아가 문화유산 관리 분야에서 완전히 자율화될 때까지 국제 협력이 계속되어야 한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Asian Vision). 과제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경쟁적인 문화유산 및 개발 요구가 있는 상황에서 공여국과 전문가들의 참여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또한 세대 교체로 인해 1990년대에 시작한 많은 초기 전문가들이 은퇴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헌신을 가진 새로운 인력을 유입하는 것이 과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회의의 미래 방향은 새로운 관련성과 상호 이익을 입증하는 것입니다. 한 가지 전략은 ICC-앙코르의 범위를 확장하여 (프레아 비히어에서 ICC가 모방된 것처럼 (Asian Vision)) 다른 유적지와 모델을 공유하는 것입니다. 이는 임무를 역동적으로 유지하고 아마도 새로운 파트너를 유치할 것입니다. 또 다른 전략은 (기후 행동, 디지털 기술과 같은) 관심과 자금 조달을 유도하는 현대 의제를 통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국이나 호주와 같은 파트너는 과거 초기 ICC에는 참여하지 않았지만, 앙코르의 첨단 디지털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는 데 더 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그들의 우선 순위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 내부적으로 ICC는 앙코르와 삼보르 프레이 쿡 회의를 통합하거나 사무국의 역할을 강화하는 등 조정을 간소화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강력한 조정을 유지하려면 풍부한 문서(반기별 ICC 회의 보고서, 권고 사항 후속 조치)를 관리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미래 방향에는 ICC 운영 현대화가 포함됩니다. 아마도 ICC 회원들이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거나, 회원국들이 돌아가며 일부 기술 워크숍을 개최하여 열정을 유지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캄보디아 정부의 역할은 기증자들이 기부금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고 신뢰할 수 있도록 강력한 리더십과 투명성을 계속 보여주는 것입니다. 2023년 훈 마넷 총리 하에 새로운 캄보디아 정부가 들어선 만큼 ICC 파트너들은 문화유산이 국가 개발 전략에서 여전히 우선 순위에 있는지 주시할 것입니다(국왕은 총리가 교육/훈련을 우선 순위에 두고 있음을 언급했으며 (Phnom Penh Post), 이는 문화유산 역량 강화에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모든 사람의 참여를 유지하는 과제는 파트너십을 새롭게 하는 것이라는 미래 방향으로 해결됩니다. 앙코르가 (역사적으로뿐만 아니라 평화의 상징, 보존을 위한 야외 실험실, 캄보디아 정체성의 핵심으로서) 왜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지 재확인하는 것입니다. 회의 결과(ICC 10년 갱신) 자체가 이러한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한 단계였습니다 (Phnom Penh Post). 무형 및 생활 문화유산 보존: 많은 초점이 유형 문화유산에 맞춰져 있지만, 앙코르와 관련된 생활 문화유산이 사라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과제로 지적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의례, 전통 지식 및 지역 사회의 문화 관행(예: 종교 의례를 위한 앙코르 사원 사용)이 포함됩니다. 현대성과 관광이 급증함에 따라 이러한 무형 문화유산이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국왕의 무형 문화유산 등재 및 조상 전래 공예 훈련에 대한 강조 (Fresh News Asia)는 이러한 과제를 건드립니다. 미래 방향은 앙코르의 물리적 보존과 캄보디아의 더 넓은 문화유산 보존을 연결하는 보다 총체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앙코르 마을에서 전통 음악과 춤의 관행을 지원하거나 노인 마을 주민들의 앙코르 구전 역사 기록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측면을 교육 및 관광(예: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압사라 춤 공연)에 포함시키는 것은 앙코르를 버려진 폐허가 아닌 살아있는 유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방향은 젊은 캄보디아인들이 앙코르를 고대 유적뿐만 아니라 그들의 살아있는 문화의 일부로 느끼도록 하여 문화적 연속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또한 지속 가능한 개발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공예(예: 석조 조각, 청동 주조 등) 보존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래 방향을 제시하면서 회의는 지속적으로 캄보디아의 국가적 우선 순위와 국제적 모범 사례에 부합하도록 했습니다. 지속 가능한 개발 개념은 문화유산 보존 목표가 경제적, 사회적 및 환경적 웰빙을 향상시키고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에서 통일된 주제였습니다. 확인된 과제는 복잡하지만 회의 분위기는 문제 해결 지향적이었습니다. 많은 참가자들은 1990년대 앙코르가 전 세계적인 도움으로 심각한 위협을 극복했던 것처럼, 혁신과 협력을 통해 새로운 세대의 과제를 극복할 수 있다고 확신했습니다. 예를 들어, 기후 위협에 대한 인식은 앙코르가 기후 적응형 보존 기술의 쇼케이스가 되어 전 세계에 지식을 기여할 수 있다는 적극적인 사고방식과 함께 이루어졌습니다(과제를 기회로 전환). 마찬가지로 지역 사회 재정착의 어려움은 ICC가 지역 사회와 보존의 균형을 맞추는 다른 세계유산 유적지에 모범이 될 수 있는 보다 포괄적인 모델로 발전하도록 촉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미래 방향은 몇 가지 핵심 단어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포용적, 지속 가능, 혁신적 및 협력적. 환경적, 사회적 또는 관리적 어떤 과제든 간에 이러한 원칙을 포괄하는 전략으로 해결됩니다. 솔루션을 찾는 데 다양한 이해 관계자(지역 사회, 과학자, 정책 입안자)의 참여는 종종 전문가 주도로만 해결되었던 이전 10년과는 뚜렷한 변화입니다. 이러한 방향에 대한 진전을 추적하기 위해 회의는 주기적인 검토를 권고했습니다. 아마도 5년 또는 10년 후 개최될 다음 정부간 회의에서 이러한 전략이 얼마나 잘 시행되었는지 평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를 들어, 관광 관리가 방문객 경험을 개선하고 손상을 줄였는지, 지역 사회 관계가 개선되고 새로운 갈등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기후 스트레스에도 불구하고 앙코르 환경이 더 건강해졌거나 최소한 안정적인지 여부 등을 평가할 것입니다. 미래 방향의 성공은 정치적 의지, 자금 지원 및 지속적인 학습에 달려 있습니다. 지난 30년간의 강력한 토대를 바탕으로 모인 이해 관계자들은 앙코르가 고립된 채 보존되는 것이 아니라 환경 및 사람들과 조화롭게 보존되는 번성하는 세계유산 유적지로 남아 있을 수 있다고 낙관했습니다. 이러한 비전은 앞으로 모든 행동의 지침이 됩니다. 6. 앙코르 유적 보존 및 지속 가능한 개발 분야의 공적개발원조(ODA) 성과 강조 회의 전체를 관통하는 주요 주제 중 하나는 앙코르 보존 이야기에서 공적개발원조(ODA), 즉 외국 정부 및 국제기구가 제공하는 재정적 및 기술적 지원의 중요한 역할이었습니다. 지난 30년 동안 앙코르는 아마도 문화유산 보존, 그리고 결과적으로 지역 및 국가 발전에 기여한 ODA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 중 하나가 되었을 것입니다. 회의는 ODA를 통해 달성된 구체적인 성과를 자주 강조했으며, 앙코르의 이익과 캄보디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국제적 지원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현장 결과로 전환되었는지 보여주기 위해 데이터와 사례를 사용했습니다. 아래에서는 논의된 주요 ODA 성과를 요약합니다. ODA 자금 지원을 받은 복원 및 보존 프로젝트: 국제 원조는 앙코르의 수많은 사원과 구조물의 복원을 직접적으로 가능하게 하여 폐허에서 구출하고 미래 세대가 접근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EFEO 및 AFD와 같은 기관을 통해)와 일본(JICA 및 JSA를 통해)은 각각 바푸온 및 바이욘 사원 복원과 같은 주요 프로젝트의 주요 공여국이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1993년부터 프랑스의 지원으로 2011년까지 바푸온의 완전한 복원이 이루어졌으며 현재 서부 메본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Phnom Penh Post). JSA를 통한 일본의 장기적인 헌신은 바이욘과 앙코르 와트의 상당 부분을 안정화하고 복원했습니다. 다른 국가들도 기여했습니다. 중국은 짜우사이테보다 사원과 타케오 사원을 복원했습니다. 이탈리아는 코끼리 테라스 작업을 했습니다. 독일은 프레아 칸 사원 보존을 도왔습니다. 인도는 타 프롬(진행 중)과 앙코르 와트 일부를 복원했습니다. **미국(WMF를 통해)**은 프레아 칸 및 기타 유적지에서 작업했습니다. 인도네시아와 헝가리도 소규모 프로젝트에 참여했습니다. 누적된 결과는 첫 10년 동안에만 국제적 지원으로 100개 이상의 보존 프로젝트가 완료되었다는 것입니다 (Radio Free Asia), 그리고 그 이후로 훨씬 더 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습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에 한때 붕괴 위험에 처했던 상징적인 기념물들이 강화되었습니다. ODA는 자재 및 노동력에 대한 자금 지원뿐만 아니라 기술 노하우 이전도 제공했습니다. 그 결과는 오늘날 앙코르의 풍경에서 볼 수 있습니다. 거의 모든 주요 사원이 국제 프로젝트의 혜택을 받았으며, 종종 해당 국가를 기리는 명판이 붙어 있습니다. 2004년 앙코르가 위험 유산 목록에서 제외된 것은 이러한 국제적 투자(유네스코 평가에 따르면 1993-2004년 동안 약 5천만 달러 (Radio Free Asia))과 명시적으로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이 통계는 회의에서 자랑스럽게 인용되었는데, 이는 ODA의 영향력을 수치화했기 때문입니다. 본질적으로 전 세계 납세자들의 돈이 세계적인 보물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고 성공했습니다. 회의는 또한 이러한 복원 성과가 지속 가능한 개발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지적했습니다. 복원된 사원은 문화 관광(지역 경제의 주요 기둥)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또한 국가적 자부심과 정체성을 육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데, 이는 무형적이지만 중요한 개발 측면입니다. 지뢰 제거 및 유적지 보안 - 인도주의적 ODA 성과: 종종 간과되지만 기본적인 ODA 기여는 1990년대 앙코르 지역의 지뢰 및 불발탄 제거였습니다. 1990년대 초, 수십 년간의 분쟁으로 인해 공원 상당 부분이 지뢰로 인해 안전하지 못했습니다. 일본 및 호주와 같은 국가의 자금 지원과 전문 지식을 통해 캄보디아 지뢰 제거 센터(CMAC)를 포함한 지뢰 제거 팀은 체계적으로 공원을 정리했습니다. 회의에서 공유된 보고서에 따르면 1990년대 앙코르를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25,000개 이상의 대인 지뢰와 80,000개의 폭발 장치가 제거되었습니다 (Radio Free Asia). ODA의 지원을 받은 이 엄청난 작업(당시 캄보디아 혼자서는 자원이 부족했기 때문에)은 문자 그대로 다른 모든 것의 길을 열었습니다. 이는 복원 작업을 진행하고 관광을 위해 유적지를 개방하여 이후 경제 성장을 가져왔습니다. 지뢰 제거의 성공은 문화유산 성과이자 잠재적인 부상이나 사망을 방지하고 토지를 생산적인 용도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인도주의적 성과이기도 합니다. ODA는 또한 유적지를 경비하고 약탈을 방지하기 위해 훈련된 특별 지역 경찰력인 문화유산 경찰대를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프랑스의 지원을 받음) (Radio Free Asia). 이 부대는 (유네스코의 조언으로 만들어진) 더 엄격한 법률과 함께 유물 약탈을 극적으로 줄였습니다. 유네스코는 이러한 노력으로 인해 2000년대 초까지 문화재 약탈이 "대부분 근절되었다"고 언급하며 이를 예로 들었습니다 (Radio Free Asia). 회의는 이를 국제 협력이 캄보디아의 법치주의와 안보를 강화한 사례로 인용했으며, 이는 더 넓은 개발 혜택입니다. 역량 강화 및 제도 강화: 앙코르에서 ODA의 가장 지속적인 영향 중 하나는 문화유산에 전념하는 캄보디아 기관 및 인적 자원 강화입니다. 거의 제로에서 시작하여(1993년 현재 크메르 루즈 시대의 교육받은 계층의 파괴로 인해 캄보디아에는 훈련된 보존 전문가나 고고학자가 거의 없었습니다), 오늘날 캄보디아는 수많은 문화유산 전문가를 자랑하며, 그중 많은 수가 국제 훈련 프로그램의 수혜자였습니다. 항 페우 박사의 발언은 상징적입니다. ICC는 "활동을 조정하고 교훈을 공유함으로써 압사라 국가청이 지원으로부터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지원합니다... [이는] 많은 캄보디아 직원의 역량 개발(이론 및 실무)을 지원했습니다." (Asian Vision). 이 역량 개발은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졌습니다. 정식 장학금(예: 해외에서 건축 또는 인류학 연구), 국제 프로젝트 현장에서의 실무 훈련(각 외국 팀은 일반적으로 캄보디아 파트너를 포함하고 멘토링해야 했습니다), 그리고 현지 훈련 센터 설립 등이 있습니다. 압사라 국가청 자체도 유네스코 및 공여국에서 파견된 외국 고문들의 지도를 받아 설립되고 발전했습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와 일본은 초기 압사라에 전문가를 파견하여 자문을 제공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압사라 국가청은 복잡한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한 조직으로 성장했습니다. 회의는 압사라의 효과가 ICC의 존재로 인해 크게 강화되었다고 언급했습니다 (Asian Vision). 이러한 모든 ODA 훈련의 결과는 측정 가능합니다. 1993년 캄보디아에 문화유산 경험이 있는 건축가가 몇 명에 불과했던 반면, 현재 압사라 및 문화부에는 수백 명의 전문가(건축가, 엔지니어, 고고학자, 관광 관리자 등)가 있으며, 그 중 다수가 ICC 프로젝트를 통해 훈련을 받았습니다 (Phnom Penh Post). 자주 칭찬받는 특정 프로그램 중 하나는 2000년대 독일의 지원으로 설립된 압사라 석재 보존 부서로, 수많은 조각품을 보존하고 현재 다른 국가에 전문 지식을 제공하는 현지 보존 전문가를 훈련시켰습니다. 또 다른 프로그램은 2000년대 일본의 자금 지원으로 APSARA 직원의 GIS,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계획 능력을 훈련시킨 APSARA 역량 강화 프로젝트입니다(더 나은 유적 목록 및 지도 작성으로 이어짐). 이러한 역량 강화 결과는 점점 더 많은 캄보디아인들이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ODA는 따라서 의도한 출구 전략에 성공했습니다. 즉, 현지 역량을 구축하여 외국 원조에 대한 의존도를 점차 줄이는 것입니다. ICC는 아직 완전한 자율성이 확보될 때까지 국제적인 도움이 필요하다고 지적하지만 (Asian Vision), 역할 변화는 분명합니다. 이러한 인적 자원 개발은 캄보디아의 더 넓은 개발에도 기여합니다. 앙코르에서 훈련받은 많은 사람들이 캄보디아 전역의 다른 문화유산 또는 도시 계획 프로젝트에서 일하면서 전문 지식을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문화유산을 통한 경제 개발 및 빈곤 감소 (관광 및 일자리): 앙코르의 ODA의 중요한 지속 가능한 개발 성과는 특히 관광을 통해 지역 및 국가 경제를 활성화한 것입니다. 앙코르를 복원하고 국제적으로 홍보함으로써 (유네스코 브랜드 및 공여국 자금 지원 관광 인프라를 통해) 캄보디아는 전쟁으로 황폐화된 시엠레아프를 번성하는 관광지로 발전시킬 수 있었습니다. 회의는 국제 협력이 보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관심과 방문객을 유치하여 캄보디아의 소득을 증대시켰다고 인정했습니다. 그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990년대 초 분쟁으로 인해 관광객 수가 거의 없었던 상황에서 앙코르는 2010년대에 연간 수천만 달러의 입장권 수익을 창출했으며 시엠레아프에서 5만 개 이상의 일자리(호텔, 운송, 가이드, 수공예 등)를 지원했습니다. ODA는 주요 인프라 자금 지원을 통해 이에 기여했습니다. 예를 들어, 시엠레아프의 물 공급 확대를 위한 일본의 무상 원조는 예상되는 관광객 증가와 앙코르 지하수면 보호의 필요성과 명시적으로 관련되어 있었습니다 (JICA) (JICA). 그들은 (2006년 완료 및 현재 확장 중) 정수장과 파이프라인을 건설하여 도시에 깨끗한 물을 공급하고, 따라서 앙코르에서 과도한 지하수 추출을 방지함으로써 앙코르를 보호했습니다. 마찬가지로 한국과 같은 국가들은 시엠레아프의 도로와 공항 개선에 도움을 주어 관광 성장을 촉진했습니다. 이러한 개발 프로젝트는 문화유산 보존 혜택(물 사례와 같이) 또는 문화적 소프트 파워 획득을 인용하여 공여국 논의에서 정당화되었지만, 분명한 경제적 결과가 있습니다. 지역 주민들은 앙코르의 매력이 없었다면 누릴 수 없었던 더 나은 인프라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관광 수입의 파급 효과는 지역에서 빈곤 감소 효과를 가져왔지만, 고르지 않았습니다. 회의는 이를 축하하면서도 이러한 경제적 혜택을 더 공평하게 분배할 필요성(따라서 지역 사회를 더 직접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한 향후 계획)을 인식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DA는 시엠레아프 경제를 변화시키는 데 촉매제 역할을 했습니다. 이는 문화가 개발을 주도하는 고전적인 사례입니다. 문화 교류 및 국제 연대: 물질적 성과 외에도 수십 개국의 앙코르 투자는 국제적 호의와 문화 외교 측면에서 무형적이지만 중요한 성과를 가져왔습니다. 회의는 앙코르를 **"모범적인 국제 협력 메커니즘"**으로 자주 언급했습니다 (Asian Vision). 30년 이상 수백 명의 외국 전문가들이 시엠레아프에서 살고 일했으며, 반대로 많은 캄보디아인들이 훈련을 위해 해외로 여행했습니다. 이는 방대한 개인 및 기관 관계 네트워크를 형성했습니다. 이는 ODA의 성과, 즉 국제 관계 개선이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과 프랑스의 앙코르 공동 관리는 동남아시아에서의 문화 외교의 초석이었습니다. 이는 후에 그들이 다른 노력(예: 후에(베트남)의 ICC를 공동 의장으로 맡은 경우)을 공동 의장으로 맡는 선례를 만들었습니다. 중국과 미국과 같은 국가들은 정치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문화유산이라는 공통의 기반을 찾아 앙코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종종 국제 협력이 어려움을 겪는 시대에 세계유산에 대한 공동 책임의 이러한 정신은 귀중한 성과입니다. 캄보디아 대중 또한 국제적인 인정과 이러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결과 덕분에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을 높였으며, 이는 측정하기 어렵지만 눈에 띄는 사회 개발 성과인 국가적 단결과 자부심을 육성했습니다. 지속 가능한 개발의 핵심 축으로서의 문화유산: 회의의 핵심 메시지 중 하나는 앙코르가 문화유산 보존이 지속 가능한 개발을 어떻게 이끌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는 것입니다. 이는 오늘날 국제 ODA의 주요 패러다임입니다(유네스코의 Culture|2030 지표 및 유엔의 2030 의제에 반영됨). 앙코르에서 ODA는 개발 목표와 명시적으로 관련된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했습니다. 예를 들어, 시엠레아프를 위한 JICA의 물 프로젝트는 SDG 6(깨끗한 물과 위생) 및 SDG 11(문화유산을 보호했으므로 지속 가능한 도시)을 모두 해결한 훌륭한 통합 성과 사례입니다 (JICA) (JICA). 마찬가지로 지역 청소년에게 전통 공예 기술을 훈련시키는 프로그램은 무형 문화유산을 보호하면서 SDG 8(양질의 일자리) 및 SDG 4(양질의 교육)에 기여합니다. 회의는 이러한 연계를 강조하여 공여 기관에 앙코르의 문화유산에 대한 자금 지원이 다차원적인 수익을 가져다준다는 주장을 효과적으로 제시했습니다. 룬타엑 재정착은 주로 캄보디아 정부가 자금을 지원했지만, 공여국 자금 지원 연구의 의견도 반영되었으며(주택 및 지역 사회 개발을 다루므로 SDG 1 빈곤 퇴치, SDG 11 등과 연결) 확장을 위한 개발 원조를 유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강조함으로써 회의는 모든 참가자(특히 정부의 재정 및 계획 부처)에게 앙코르에 투자된 자금이 보기 좋은 기념물을 위한 사치스러운 지출이 아니라 사람, 환경 및 지식에 대한 투자임을 재확인했습니다. 앙코르의 ODA 성과의 이야기는 설득력이 있습니다. 분쟁 후 사회가 국제적 연대를 통해 문화유산을 회복과 성장의 엔진으로 사용했다는 것입니다. 유적지는 위험에서 번영으로 바뀌었고 지역 경제는 동시에 발전했습니다. 이것이 캄보디아가 앙코르뿐만 아니라 그 너머의 문화유산 분야에서도 ODA를 계속 옹호하는 이유입니다(국왕의 다른 문화유산을 미래 등재를 위해 준비하고 있다는 언급은 캄보디아가 다른 유적지에도 유사한 지원을 모색할 것임을 시사합니다). ODA 기여 데이터: 회의 기록에는 참여 국가 수(30개국 이상이 다양한 시점에 ICC-앙코르에 기여), 총 재정 기여(정확히 합산하기는 어렵지만, 시엠레아프의 모든 인프라 및 소프트 원조, 직접적인 보존뿐만 아니라, 수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정) 및 정량적 성과와 같은 데이터 공유가 포함되었습니다. 언급된 주목할 만한 데이터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300명 이상의 캄보디아 전문가가 국제 표준에 따라 훈련됨; 70개 이상의 사원 및 구조물이 실질적으로 복원됨; 두 개의 주요 새로운 박물관 및 방문자 센터가 외국 원조(앙코르 국립 박물관은 외국 민간 투자자, 계획된 새로운 박물관은 일본 원조)로 설립됨; 지역 사회의 생계 개선, 예: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문화유산 관리 및 관광 분야에서 4000개 이상의 일자리 창출. 이러한 수치는 ODA 영향의 규모를 보여줍니다. 이전 유네스코의 놀라운 데이터 중 하나는 첫 10년 동안 그러한 노력 덕분에 "앙코르의 대부분의 심각한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것입니다 (Radio Free Asia) – ODA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는지에 대한 강력한 지지입니다. 회의 기간 동안 캄보디아는 이러한 성과에 감사를 표했습니다. 시하모니 국왕의 연설 및 기타 연설에서는 종종 기증 국가들의 이름을 일일이 언급하며 (Phnom Penh Post), 각국이 앙코르 성공 스토리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강조했습니다. 캄보디아 측은 또한 ODA 자금이 책임감 있게 사용되고 성과가 지속되도록 보장하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몇 년 동안 문화유산에 대한 국가 예산 할당을 늘려 일상적인 유지 보수 자금을 점차 자체적으로 조달하여 ODA가 특별 프로젝트에 집중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이는 공여국들이 높이 평가하는 성숙입니다. 이는 그들의 지원이 국가가 이제 자체적으로 활용하는 기반을 구축했음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회의의 앙코르 ODA 성과 검토는 매우 긍정적인 그림을 그렸습니다. 이는 지난 30년간의 국제 원조가 매우 성공적이었음을 입증했습니다. 앙코르의 사례는 국제 포럼에서 문화의 개발 역량을 옹호하는 데 제시할 수 있는 모델 역할을 합니다. 논의에서 ODA 성과를 명시적으로 강조한 것은 기증자들의 기여를 축하하고 그들의 투자에 대한 실질적인 수익을 보여줌으로써 지원을 계속하거나 늘리도록 장려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것입니다. 또한 새로운 ICC 회원 또는 참관인들에게 지금까지 달성된 것과 향후 원조가 어떻게 지향되어야 하는지(예: 현재는 긴급 구조보다는 역량 강화, 기후 적응 등에 더 집중)를 교육합니다. 앙코르의 문화유산과 발전 간의 공생 관계(종종 "앙코르 보존이 평화와 번영에 기여했다"와 같은 문구로 요약됨)는 문화 보호가 자원 낭비가 아니라 인간 중심 개발의 원동력이라는 아이디어의 증거로 작용합니다. 제4차 정부간 회의는 이러한 메시지를 강화하여 앙코르가 과거의 기념물뿐만 아니라 문화유산을 존중하고 활용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미래를 창조하는 방법에 대한 등불로 남도록 보장했습니다. 참고 문헌: (원문과 동일)
앙코르 보존 및 개발을 위한 제4차 정부간 회의
클릭하여 마인드맵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