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출처 편집

AI 요약
출처 표기법에 대한 안내로, 논문 및 단행본, 인터넷 사이트, 기사, 그림 및 표의 출처 표기 순서와 형식을 설명합니다. 각 유형별로 저자명, 연도, 제목, 출판사 등의 기본 양식을 제시하며, 아래아 점을 사용하여 통일성을 강조합니다.
생성 일시
2024/09/12 06:04
선택
이미지
  출처표기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살펴보시고 해당사항에 대해서 편집해 주십시오. (그림을 클릭하시면 보다 큰 그림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제일 간단하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틀리는 출처표기법의 첫번째인 그 순서입니다.
  출처표기를 하려고 생각하면 막상 무엇을 먼저 표기해야 할지 난감하기도 합니다. 지난 자료집이 있는 사람은 그것을 참고로 하면 되겠지만, 여기에 그 순서를 한번 기재해 봅니다.
  출처표기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논문 및 단행본의 출처 표기는 출처 표기 중에서 가장 먼저 나오는 것입니다.
  논문 및 단행본의 출처 표기 순서가 중요한 이유를 꼽으라면 아마도 그림 및 표 또는 인용문의 출처표기시 이것이 논문이나 단행본으로 부터 인용된 것일 경우에 이 형식을 따라주어야 하기 때문 입니다.
  우선 출처 표기의 예를 살펴봅시다.
<논문 및 단행본> ㆍ김흥후, 2006, 한국의 지역 축제, 지성의 샘
  위의 것이 바로 논문 및 단행본의 출처표기 기본 양식입니다. 우선 저자명이 먼저 나오고 그다음 연도가 나옵니다. 제목의 경우 '『』'은 자료집 편집의 관례상 생략합니다. 뒤에 출판사나 기타 속한 기관명들이 위치하며, 번역서의 경우 제목과 출판사 사이에 역자명을 기입합니다.
ㆍ저자, 연도, 제목, 출판사 ㆍ저자, 연도, 제목, 번역자, 출판사 ㆍ저자, 연도, 제목, 학회명 학회지 권호수 ㆍ저자, 연도, 제목, 학교명 XX학위논문(XX는 학사, 석사, 박사) ㆍ저자, 연도, 제목, 잡지명 권호수
  출처 표기시 앞에 집어넣는 점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것을 사용합니다. 일반 구두점중에서 사용되는 '·'(가운데점)을 혼용하기도 하였습니다만, 보다 폭이 넓은**'ㆍ'(아래아)로 통일**합니다.
  이는 그림이나 표등의 출처 표기시 앞에 사용되는 점에도 적용됩니다.
  출처표기법중에서 제일 간단한 것이 아마도 인터넷사이트의 출처표기일 것입니다. 인터넷사이트의 출처표기를 이곳에서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 봅시다.
  출처표기의 예(사이트 주소가 하이퍼링크로 인하여 파란글씨에 밑줄쳐 지지 않도록 해주세요.)
<인터넷 사이트> ㆍ국회도서관, http://www.nanet.go.kr/
출처표기는사이트 제목을 먼저 기입하고 사이트 주소를 뒤에 위치합니다.
ㆍ사이트제목, 사이트주소(기본주소)
표기의 앞에 사용되는 점은아래아로 논문 및 단행본에서와 동일합니다.
  출처표기법중에서 두번째로 간단한 것이 아마도 기사의 출처표기일 것입니다. 기사의 출처표기를 이곳에서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 봅시다.
  출처표기의 예
<신문기사> ㆍ건설일보, 2006-06-28
  출처표기는 위와 같이 신문사를 표기한 뒤에 년도-월-일을 표기합니다.
ㆍ신문사, 200X-XX-XX
  표기의 앞에 사용되는 점은 아래아로 논문 및 단행본에서와 동일합니다.
  그림과 표의 출처표기입니다. 우선 예시를 봅시다.
  출처표기의 예시
※ 그림 및 표 출처 II. 시화 조력발전소의 역할과 기능 [그림-1] http://cafefiles.naver.net/data23/2006/12/22/192/175.jpg [그림-2] 임향근, 2004, 『동북아: 새만금 권역』의 토지 이용에 대한 신 구상 -조력발전소(Tidal Power Plant) 건설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그림-3] http://blogfiles3.naver.net/data18/2006/11/27/82/%B1%D7%B8%B21-usunhwa.jpg [표-1] 임향근, 2004, 『동북아: 새만금 권역』의 토지 이용에 대한 신 구상 -조력발전소(Tidal Power Plant) 건설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그림과 표의 경우에는 우선 주제를 표기한 다음 해당 그림과 표의 출처를 나열합니다. 출처표기가 캡션에 입력된 그림과 표의 번호를 삽입합니다. 그림의 경우 인터넷에서 찾은 자료일 경우 그 그림파일이 위치한 곳까지 표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만약 해당 사이트에서 그림의 파일 출처를 막아두었을 경우에는 예외를 허용합니다.
※ 그림 및 표 출처 I. 주제 [그림-번호] 출처 [표-번호] 출처
좋아요1
공유하기
URL 복사카카오톡 공유페이스북 공유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