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유네스코 창의도시 기초조사_경주 : Basic Research for UNESCO Creative Cities Application_Gyeongju City

경주시 창의도시 추진 전략

‘공예와 민속예술’ 분야 집중하되, 미식과 문학 분야와 연계 방안마련

산업입지분석, 포커스그룹인터뷰, 전문가 자문결과, 2019년도 예비도시로 기 신청한 ‘공예와 민속예술’ 분야를 철회하고, 미식과 문학 등 여타분야로 대체필요성에 공감대 조성이 안된 상태
신청 분야 변경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주관 예비도시 자격을 획득을 위하여 2024년 5월 까지 신청서 제출, 이후 1년 이상 활동 등 국내절차 충족에만 최소 2년 추가 소요
유네스코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을 위한 도시간 경쟁이 심화되는 추세에서, 예비도시로 선정된다 하여도, 국제심사절차에 추천도시로 선정되는 것은 또 다른 문제
따라서 공예와 민속예술 분야에 집중하되, 음식, 그릇, 이야기, 문학, 가사, 노래, 축제, 공연 등은 상호불가분의 인류문화유산이라는 점에서, 미식 및 문학을 함께 담아내는 포용적 개념으로 접근

경주만의 차별적 가치를 창의도시 네트워크 핵심 브랜드로 포지셔닝

천년왕도, 실크로드 등은 국내에서 어느 도시도 견줄 수 없는 경주만의 차별적 경쟁력이자, 세계 유사한 도시와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핵심가치
공예와 민속예술 분야 기존 창의도시인 이천, 진주, 김해와 예비도시로 향후 경쟁 대상인 청주, 안동 등 감안시, 경주가 지닌 탁월한 가치에 집중하는 것이 창의도시 네트워크 회원도시로 선정과정에서 경쟁력 확보의 관건
천년왕도라는 점은 교토(일본), 시안(중국), 치앙마이(태국), 알마티(카자흐스탄), 에딘버러(스코틀랜드), 마드리드(스페인) 등 유네스코 창의도시 가운데 왕도였던 지역과 네트워크 구축의 자산
실크로드 시발점이란 점 역시 둔황(중국), 사마르칸트(우즈벡스탄), 이스파한(이란), 토리노(이탈리아)등 유네스코창의도시 가운데 실크로드와 연관된 주요도시와 네트워크 구축의 자산

유네스코 창의도시에 시민참여 활성화 및 성공사례 벤치마킹

제한된 범위이기는 하지만 경주지역 문화예술인을 대상으로 유네스코 창의도시 프로그램에 대한 인터뷰조사 결과, 유네스코 창의도시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가 25%내외에 불과한 실정으로, 일반시민층의 인지도는 매우 낮을 것으로 추정
창의도시 추진사업 초기단계부터 시민들이 지역사회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관심을 갖고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홍보전략 수립 및 거버넌스 체계에 참여 방안을 마련
부천, 원주, 부산, 통영, 대구, 이천, 진주, 김해, 서울, 광주, 전주 등 11개 정회원도시, 강릉, 성남 등 2024년도 추천도시, 순천, 울산, 청주, 안동 등 예비회원도시의 그간 성과와 향후 계획에 대한 조사 및 벤치마킹
이와 함께 대륙별 분포도 감안 왕도 또는 실크로드 지역에 위치한 5개 창의도시를 선정 및 교류시작, 정회원도시 가입심사에 필요한 추천서 확보 및 네트워크 구축 기반 준비

전문기관과 협력체계 확대로 내부 인프라 확충 및 역량강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문화재재단,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국립국악원, 국악방송 등 공예 및 민속예술과 관련된 기관과 업무협약 체결, 사업 및 프로그램 참여, 지역 센터 유치 등
공예창작지원센터(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세계유산축전(한국문화재재단), 대한민국전통연희축제(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국립국악원분원개소(국립국악원)국악방송국개국( 국악방송) 등 사업참여 및 기관유치
전통예술복원 및 재연지원사업, 전통예술 경연대회, 한국민속예술제, 인류무형문화유산활용공연사업, 전통공연예술행사 해외진출지원사업 등 정부지원 사업에 경주지역 민속예술인 및 단체 참여활동 지원
신라도자기축제(4월), 신라문화제(10월) 등 기존 행사에 해외참가자 초청 등을 통해 국제행사로 확대 모색

(가칭)경주우수공예품국제공모전 개최 및 국제상 제정

청주시 2004년 유네스코 직지상제정 및 직지코리아 페스티벌개최, 전주시 2019년 세계무형유산대상제정 및 축제개최, 세계공예기구(WCC) 유네스코 우수공예품인증제 승계한 우수공예품공모전 및 세계공예도시네트워킹 중
세계공예기구에 정회원 가입 및 유네스코 직지상 사례와 같이, 특정분야 공예품 심사, 인증을 경주시가 주관하는 (가칭)경주우수공예품국제공모전 개최 추진
문화재청이 주관하는 국제문화제산업전, 또는 경주시가 격년제로 주관하는 경주세계문화엑스포 등 기존사업과 연계하여 추진방안 모색